캐드캠아카데미

장기전세주택 임대

1. 대상

입주자모집 공고일 현재 무주택세대 구성원으로서 소득 및 자산보유 기준에 해당하는 사람

· 소득 :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100%(4인 기준 5846,000) 이하

· 부동산(건물+토지) : 21,550만 원 이하, 자동차 2,850만 원 이하

2. 내용

전용면적 60이하의 주택을 시중 전세시세의 80% 수준으로 최장 20년간 임대

3. 방법

사업주체(LH, SH, 민간건설사 등)의 모집공고에 따라 입주 신청

4. 문의

시군구청, LH마이홈(1600-1004), SH(1600-3456)

 

기존주택 매입임대, 청년매입임대주택 지원

1. 대상

· 기존주택매입임대 : 생계급여·의료급여 수급자, 한부모가족, 소득이 도시근로자 가구 월평균소득 50%(4인 기준 2923,000) 이하인 무주택자 등

· 청년매입임대 : 위 입주자격의 대학생(사업대상 대학에 재학 중으로 타 시군 출신), 취업준비생(졸업·중퇴 후 2년 이내, 졸업예정·유예자)

2. 내용

· 기존주택매입임대 : 전용면적 85이하의 기존 다가구주택·다세대·연립주택 등을 LH 또는 지역별 지방도시공사에서 매입하여 시세의 30% 수준으로 최초 2년 계약 후 최장 20년간 저렴하게 임대

· 청년매입임대 : 1, 2순위 시세 30%, 3순위 시세 50% 수준으로 최초 2년 계약 후 최장 6년간 저렴하게 임대

3. 방법

· 기초생활수급자 :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 주거취약계층 : 읍면동 주민센터, 지방검찰청(범죄 피해자에 한함), LH를 통해 신청

4. 문의

시군구청, 지방도시공사, LH마이홈(1600-1004)

 

기존주택·신혼부부 전세임대, 소년소녀가정 등 전세주택 지원

1. 대상

가구소득이 사업별 소득기준 이하이며 재산기준(총자산 17,800만 원, 자동차 2,545만 원) 이하인 무주택자

구분

지원내용

지원금액

기존주택

전세임대

생계급여·의료급여 수급자,

한부모가족 무주택자 등

도시근로자 가구월평균소득 50%

(4인 기준 2923,000) 이하

신혼부부

전세임대

무주택 세대구성원으로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 또는 예비부부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 50%

(4인 기준 2923,000) 이하

소년소녀가정 등

전세주택

소년소녀가정, 가정위탁아동 등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 100%

(4인 기준 5846,000) 이하

· 재산기준 : 총자산 17,800만 원, 자동차 2,545만 원 이하

2. 내용

입주대상자가 희망 주택(전용면적 85이하)을 선정하면 LH 또는 지역별 지방도시공사가 집주인과 전세계약 후 입주대상자에게 저렴하게 임대

구분

지원내용

기존주택·

신혼부부

전세임대

· 기존주택 전세임대 : 수도권 최대 9,000만 원, 광역시 최대 7,000만 원, 그 외 지역 최대 6,000만 원 지원

· 신혼부부 전세임대 : 수도권 최대 12,000만 원, 광역시 최대 9,500만 원, 그 외 지역 최대 8,500만 원 지원

- 임대보증금 : 전세금의 5% 수준

- 월임대료 : 전세금에서 임대보증금을 제외한 금액의 연 2% 이자상당액만을 월임대료로 납부

지원예시

수도권에서 전세금 8,500만 원의 주택을 전세주택으로

임차한 경우 보증금 425만 원, 월임대료 135,000원 수준

- 지원한도액을 초과하는 전세주택은 초과 전세금액을 입주자가 부담할 경우 지원 가능

소년소녀가정 등

전세주택

무상 임대

(, 20세 이후에는 연 2%의 이자 부담, 최장 6년 연장 가능)

3. 방법

· 기초생활수급자 :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 주거취약계층 : 읍면동 주민센터, LH, 지방검찰청(범죄 피해자에 한함)에 신청

4. 문의

시군구청, LH마이홈(1600-1004), 지방도시공사

'정보 > 복지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거안정 월세대출  (0) 2018.09.09
생계지원 - (7)  (0) 2018.09.09
신재생에너지 설치 지원  (0) 2018.09.09
주거급여  (0) 2018.09.09
행복주택 공급  (0) 2018.09.09
영구임대주택 공급  (0) 2018.09.09
기초생활수급자를 위한 요금감면제도  (0) 2018.09.09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  (0) 2018.09.09
250x250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