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캠아카데미

제 3 장 공동주택

 

1. 아파트 분류

   a. 계단실 형 - 독립성이 좋고 건물의 이용도가 높지만 각 홀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므로 시설비가 많이 든다.

   b. 편 복도형 - 복도 개방시 각 주호의 거주성이 좋고 고층 아파트에 적합하다.

   c. 중 복도형 - 부지의 이용율은 높으나 프라이버시가 나쁘고 통풍, 채광상 불리하다

   d. 집 중 형 - 부지의 이용율은 가장 높고, 많은 주호를 집중시킬 수 있지만 

프라이버시가 극히 나쁘며, 통풍, 채광도 가장 않좋다. 고도의 설비가 필요하다.

2. duplex, maisonnette type

   ▪프라이버시가 가장 좋다

     한 주호가 2개층 이상에 걸쳐 구성 엘리베이터의 정지층수를 줄인다.

     통로면적 감소, 임대면적 증가 소규모에서는 비경제적이며, 대피상 불리하다.

     스킵플로어형일 때 구조상 복잡 

3. 동서간 인동간격 

   ▪1세대 : dx = bx,    세대 : dx = 1/2bx,    다세대 : dx = 1/5bx

4. 블록 플랜

    a. 2면 이상 외기에 면할 것

    b. 중요실이 모퉁이에 배치되지 않도록 할 것

    c. 중요실의 환경은 균등히 할 것

    d. 모퉁이에서 다른 주호가 들여다 보이지 않을 것

5. 엘리베이터

    a. 1대당 50-100호가 적당

    b. 대수산정 가정조건

       2층이상 거주자의 30%를 15분간 일방 수송

       1인의 승강에 필요시간은 문의 개폐시간 포함 6초, 한 층에서 승객을 

기다리는 시간은 평균10초 실제 주행속도는 전 속도의 80%, 정원의 80%

를 수송인원으로 본다.

 

6. C.A. Perry의 근린주거단위 

   a. 국민학교 하나를 필요로하는 인구가 적당

   b. 주구내 경계는 간선도로, 단지내 통과도로는 두지 않는다.

7. 하워드의 근린주거이론:

   a. 도시와 농촌의 결합으로 도시가 규모이상 확산되는 것 방지

   b. 시가지에 32,000명으로 인구 제한

   c. 동심원상으로 상업지, 주택지, 공업지 등 배치, 자족성유지

8. 레드번 시스템

   ▪슈퍼블록 - 기능에 따른 가로의 단계 분리

   ▪콜 데 삭 - 사람과 차량의 완전분리(보차분리)

9. 캐빈 린치의 도시형태, 시각환경의 기삭 형성 image 요소

   a. Paths(통로)

   b. Edges(접촉부)

   c. Districts(구역)

   d. Nodes(중심)

   e. Land Marks(기념물)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