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간거리 (車間距離, gap spacing)
연속적인 두 차량에서 앞 차량의 뒷부분부터 뒤 차량의 앞부분까지의 거리를 거리단위(m)로 나타낸 것.
차간시간 (車間時間, gap)
두 인접한 차량 사이를 시간으로 표시한 것으로 정확히 앞차의 뒷부분부터 뒤 차의 앞부분까지의 시간간격을 말함.
차고 (車庫, car shed)
차량 검사, 수선 및 수용을 하기 위한 차고를 말함.
차광보호면 (遮光保護面, face shield)
유해(有害)광선, 스래터및 슬래그로 부터 눈 및 얼굴의 전면을 보호하는 면으로, 헬멧 형과 핸드쉴드 형의 두 종류가 있음.
차광안경 (遮光眼鏡, eye protector)
유해한 광선으로 부터 눈을 보호하는 안경.
차내경보장치 (車內警報裝置, car warning device)
요주의(要注意) 또는 위험구역에 열차가 접근할 때 기관사에게 부져(buzzer) 등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장치임.
차내신호장치 (車內信號裝置, cab signal)
차량의 운전대에 설치된 신호현시장치를 말함. 200 km/h 이상의 고속운전에서는 차상신호방식을 채택하여야 함.
차단 (遮斷, interception)
비가 지상에 도달하기 전에 식물에 의해서 저지되는 현상. 강우의 차단은 일반적으로 기상조건, 강우의 크기, 기간, 양, 식물의 종류, 그 성숙도, 증발작용의 크기 등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므로 이를 정확히 측정하기는 매우 어려움.
차단공사 (遮斷工事, block work)
선로상에서 차량운행을 중지하고 하는 공사.
차단층 (遮斷層, fillter course)
노상토가 지하수와 함께 보조기층에 침입하여 보조기층을 연약하게 만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기층 아래에 두는 모래층.
차도 (車道, roadway, carriageway)
차량의 통행에 사용되는 도로의 부분(자전거도 제외)을 말하며 차선으로 구성됨.
차도부 (車道部, carriage area)
차도 및 중앙대, 교통섬, 길어깨의 전부 또는 일부로 구성되는 도로의 주요부분을 통털어 차도부라고 함.
차동조압수조 (差動調壓水槽, differential surge tank)
단면이 다른 두 개의 수조가 수압관에 연결되어 자동적으로 조압작용을 가능케 하여 단동형보다 수조의 용량을 작게하는 이점이 있는 조압수조.
차두간격 (車頭間隔, spacing, space headway)
같은 방향으로 주행하는 2대의 차량이 어느 지점을 통과할 때의 시간간격을 차량의 선단을 기준으로 나타낸 것.
차두거리 (車頭距離, spacing)
연속적인 두 차량에서 앞 차량의 뒷부분부터 뒤 차량의 뒷부분까지(또는 앞 차량의 앞부분부터 뒤 차량의 앞부분까지)의 거리.
차두시간 (車頭時間, headway)
한 지점을 통과하는 연속된 차량의 통과시간 간격을 말함. 즉, 앞차량의 앞부분(또는 뒷부분)과 뒷차의 앞부분(또는 뒷부분)까지의 시간간격.
차량 (車輛, rolloing stock)
한쌍의 찻바퀴를 갖춘 두조 이상의 차축위에 차체를 실어 전용의 궤도 위를 주행할 수 있는 구조물로서 여객이나 화물의 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차량과 이들 차량을 견인하기 위하여 동력을 장비하여 주행하는 차량을 총칭.
차량감지기 (車輛感知器, vehicle detector)
교통량을 계측하기 위한 감지기.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루우프식과 초음파식이 있음.
차량군분산 (車輛群分散, platoon dispersion)
정지선에서 녹색신호에 의한 차량군이 링크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차두거리가 확산되는 현상을 말함. 차량군 분산이론은 TRANSYT 모델의 교통류모형에서 사용됨.
차량군이동 (車輛群移動, platoon movement)
간선도로상에서 차량들이 무리를 지어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연동효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
차량기지 수용능력 (車輛基地 收容能力, car receiving capacity of shunting yard)
여객차(전동차, 기동차, 객차 등) 또는 기관차 차량기지에서 최대 동시(同時)유치 열차수 또는 차량수를 말함.
차량보유비 (車輛保有費, vehicle ownership cost)
차량의 소유에 소요되는 비용으로서, 구입비, 보험료, 면허세, 등록세 등의 비용과 제반 공과세금 등을 총칭함. 차량운행비 중 고정비용에 속함.
차량 수송 방식 (車輛輸送方式, mobile conveyance system)
공항 여객 터미널 평면 배치 개념의 일종. 항공기는 터미널 먼 곳에 주기하고 버스나 모빌라운드 등으로 수송하는 개념으로 항공기의 특성, 크기, 운항방식에 큰 구애를 받지 않는 장점이 있음.
차량운행비 (車輛運行費, vehicle operating cost)
차량의 운행에 소요되는 제반비용으로서, 휘발유값, 통행료, 윤활유, 타이어 마모비용 등의 가변비용(직접비용)과 차량의 사용정도에 관계없이 소요되는 고정비용(보유비용)으로 구분됨.
차량접촉한계 (車輛接觸限界, fouling point, clearance of track)
본선과 측선 또는 측선과 측선의 각선상에 동시에 차량이 진입시 차량의 접촉을 피할 수 있는 거리 및 위치.
차량접촉한계표 (車輛接觸限界標, car limit post)
차량접속한계를 나타내는 표지로 본선과 측선 또는 측선과 측선사이에 설치함.
차량한계 (車輛限界, car gauge, car limit, rolling stock vehicle gauge)
차량 제작시 일정 규격을 결정하기 위하여 규제해 놓은 수치로서, 차량의 어떤 부분도 이 한계에 저촉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한계. 철도에서는 차량이 직선궤도에 바르게 위치했을때, 차량각부가 그것보다 밖으로 나가면 안되는 단면의 한계를 말함. 차량의 동요 등에 의한 접촉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건축한계에 대해 약간의 간격을 두어 작게 정하고 있음. 도로법에 근거를 둔 차량한계령에 의하면, 무게 20ton이상, 폭 2.5m이상, 길이 12m이상, 높이 3.8m 이상의 차는 도로관리자의 허가를 받지 않으면, 도로법상의 통로를 통행할 수 없음. 이 경우, 특히 인 허가를 받을때 제한외의 차량을 특수차라 함.
차로 (車路, lane)
→ 차선.
차륜막이 (“車輪止”, car stop scotch block)
유치된 차량의 유동을 막기 위해 유치차량의 차륜에 설치하는 장치.
차륜 하중 (車輪荷重, wheel load)
교량 설계시 사용하는 표준 트럭 하중 (DT하중) 으로서 종방향으로는 차선당 한 대, 횡방향으로는 재하가능한 대수로 재하하는 설계 활하중.
차막이 (“車止”, buffer stop, car stopper)
선로의 종점에 있어 차량의 일주를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설비.
차막이선 (“車止線”, blind siding)
차량의 일주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별도 선로.
차선 (車線, lane)
1종열의 자동차를 안전하고 원활하게 통행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띠 모양의 차도의 한 부분을 말하며, 보통 차선의 수는 왕복차선을 합친 것을 말함.
차선군 (車線群, lane groups)
신호교차로 용량분석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같은 현시에 움직이는 이동류(들)의 차선별 v/s비가 평형을 이룰 수 있어 그 이동류(들)의 v/s비를 단일 값으로 나타낼 수 있는 차선 묶음.
차선표시선 (車線表示線, lane marking)
노면표시로서 차선의 경계를 나타내는 도로연장방향의 선.
차선하중 (車線荷重, lane load)
교량 설계시 사용하는 설계 활하중으로서 각 지간에서 1개의 차선당 1 개의 집중하중과 등분포하중 으로 구성됨.
차수벽 (遮水壁, cut-off wall)
댐 또는 기타 구조물의 침투성인 기초지반 중에 침투하는 물을 막을 목적으로 점토, 콘크리트, 강널판 등의 불투수성재료로 만든 벽. 지수벽이라고도 함. → 지수벽.
차수판 (遮水板, water-stop)
콘크리트댐의 가로이음의 부근에 설치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판. 동판, 스텐레스판, 고무판 등 수밀성과 내구성이 큰재료로 제작함. 지수판이라고도 함. → 지수판.
차아염소산 (次亞鹽素酸, hypochlorous acid )
화학식으로는 HOCl. 염소를 물에 녹이면 가수분해에 의해 염산과의 혼합물로서 얻어짐. 농후용액은 담황색을 띠고 자극적인 냄새가 나며 빛에 의해 분해되어 기체인 산소보다 산화 작용이 강한 산소를 발생함.
차아염소산나트륨 (次亞鹽素酸 - , sodium hypochlorites)
차아염소산염의 하나로, 수산화 나트륨 용액에 염소가스를 흡수시켜서 얻어짐. 시판되는 것은 유효염소 4~12 %의 수용액으로 외관은 담황색, 투명한 강알칼리성 액체이고, 용이하게 분해되며, 산소를 방출함. 산화력이 커서 표백제, 소독제, 산화제 등으로 이용되고 있음.
차원방정식 (次元方程式, dimensional equation)
물리적 현상을 나타내는 방정식에서는 그것이 이론적으로 올바르다면 양변의 차원은 같아야 함. 따라서 방정식을 알지 못하더라도 그 양변의 차원이 같아지도록 방정식을 가정해서 풀 수 있음. 이와 같이 양변의 차원이 같다고 가정한 식을 차원방정식이라고 함.
차원해석 (次元解析, dimensional analysis)
물리 현상의 경험적 해석을 위해서 그것의 발생에 중요한 인자가 되는 물리량의 차원을 분석하여 그 관계를 수립하는 방법.
차음 (遮音, sound insulation)
공기음 고체전달음 등의 전달을 차단 하는 것.
차음벽 (遮音壁, noise barrier)
공기전파음을 차단시킬 목적으로 음원과 수음점 사이에 설치하는 벽으로 도로교통 소음 대책의 일환으로 이용됨.
차음재 (遮音材, sound insulation material)
→ 차음재료.
차음재료 (遮音材料, sound insulating material)
입사한 음을 반사시켜 반대측에 투과하기 어려운 재료. 내부 점성이 크고 통기성이 없으며, 투과 손실값이 커야 하며 차음효과가 큰 재료로는 콘크리트, 벽돌, 금속판 그 외 각종 보드류 등이 있음.
차장차 (車掌車, conductor / caboose car)
차장이 승무하여 여객 및 화물 취급업무에 종사할 수 있도록한 차.
차집관거 (遮集管渠, intercepting sewer)
합류식 하수도에서 청천시에는 하수의 전부를, 강우시에는 하수의 일부를 처리장으로 유도하기 위해 설치하는 관거.
차축배치 (車軸配置, axial arrangement)
차축 또는 대차의 전위으로 부터 후위에 걸친 윤축의 배열방법.
착공말뚝 (鑿孔 - , bored pile)
지방에 구멍을 뚫고 구멍에 콘크리트를 쳐서 만든 말뚝.
착륙거리 (着陸距離, landing distance)
항공기 착륙 특성에 따라 소요되는 활주로 길이. 활주로 길이 결정시 충족시켜야 할 길이 중의 하나. 착륙하는 항공기가 활주로로부터 높이 15m 점을 통과하여 착륙후 정지할 때까지에 필요로 하는 거리에 1.67(100/60)배한 거리.
착륙대 (着陸帶, landing strip)
항공기가 착륙 또는 이륙을 시도하다 활주로를 비정상적으로 이탈할 경우 항공기 및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활주로와 이를 중심으로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진 장방향 평면 모양의 구역.
착륙대 등급 (着陸臺 等級, airstrip classification)
우리나라 항공법에서 비행장의 규모에 따라 착륙대의 크기를 나눈 것. 비행장 시설 설계의 표준을 정하는 기본이 되며 「ICAO의 비행장 부호」나 「FAA의 항공 분류 부호」와 유사한 개념임.
착륙 보조시설 (着陸 補助施設, landing aids)
기상 조건이 계기 비행 규칙(IFR) 상태인 때에도 안전, 신속하게 항공기가 착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보조시설. ILS(계기 착륙 장치), PAR(정밀 진입레이다), ASR(공항 감시레이다)나 ASDE(공항지표면 탐지 레이다) 등이 있음.
착륙중량 (着陸重量, landing weight)
이륙 중량에서 비행중 소비된 연료 중량을 뺀 나머지 중량.
착색제 (着色劑, coloring admixture)
혼화제의 일종으로 콘크리트를 착색시키는 재료.
착색콘크리트 (着色 - , coloured concrete)
미관 기타의 목적으로 착색한 콘크리트. 일반적으로 광물질의 착색제와 백색 포틀랜트시멘트를 이용.
착수대 (着水帶, channel)
수상 비행장에서 항공기가 이착수(離着水)할 때에 사용하는 긴 직사각형 모양의 수역(水域). 육상 비행장의 활주로에 해당됨.
착수정 (着水井, gauging well)
정수장 혹은 배수지 등에 설치하여 유입수의 수위조절과 계량을 목적으로 한 구조물.
착암 (鑿岩, drilling)
암반에 구멍을 뚫는 행위. 터널공사에서 주로 이것에 종사하는 기능공을 착암공이라 함.
착암공 (鑿岩工, driller)
암석에 구멍을 뚫는 일에 종사하는 기능자.
착암기 (鑿岩機, drill)
암석에 구멍을 뚫는 기계의 총칭.
착정 (鑿井, well drilling)
비교적 불투수층인 두 암석이나 토층사이에 존재하여 대기압보다 큰 압력을 받고 있는 대수층인 피압대수층까지 굴착하여 높은 수위의 상승을 유도하는 우물.
착화온도 (着火溫度, firing temperature)
가연성 물질이 공기 중에서 열을 받아 점화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연소를 개시하는 온도를 말함. 가연물의 증발량, 공기의 산소 농도 및 압력이 높을수록, 또 분자구조가 간단할수록 낮게됨.
찰쌓기 ( - , wet masonry)
줄눈에 시멘트모르터를 채워 넣는 돌쌓기 또는 벽돌쌓기.
찰쌓기댐 ( - , wetted masonry dam)
교착 재료를 써서 축조한 댐.
참응력 ( - 應力, true stress)
응력-변형도 시험에서 변형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면이 감소되는데 이 때 감소된 단면적을 기준으로 산출한 응력.
참응력-변형도 곡선 ( - 應力 - 變形度 曲線, true stress-strain curve)
참응력과 이때의 변형도과의 관계를 표시한 그림.
창고 (倉庫, warehouse)
화물의 정기저장을 목적으로한 건물.
창조 (漲潮, flood tide)
→ 밀물.
창조류 (漲潮流, flood tide current)
조석에 의한 흐름중 간조에서 만조로 진행되는 과정중의 흐름.
채석 (採石, quarrying)
공사용의 석재를 채취하는 작업. 경석은 발파로, 연석은 곡괭이 등으로 채취함. 처음부터 소요 치수로 깨어낼 경우와 큰치수를 채취한 후 소요 치수로 깨어낼때가 있음.
채석장 (採石場, quarry)
암반위에 덮인 흙과 수목을 제거하여, 석재를 떠 낼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돌을 떠내는 장소 또는 강자갈, 강모래 및 쇄석 등의 골재를 채집하는 장소.
채움골재 ( - 骨材, choke aggregate)
머캐덤 공법에서 주골재의 간극을 채우기 위한 골재. 공종에 따라 다르지만 입경 13~20 mm
이하의 부순 돌이나 하천모래 등을 사용함.
채움재 ( - 材, filler, mineral filler)
주로 가열 역청혼합물에 이용되는 미립골재로서 No.200체를 통과하는 광물질 분말. 보통 석회암의 분말이 사용되며 시멘트, 플라이애쉬, 소석회 등도 사용됨.
채취검사 (採取檢査, sampling inspection)
롯드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시험해서 그 결과를 판정기준과 비교하여 그 롯드의 합격, 불합격을 판정하는 검사방법.
채터 바 ( - , chatter-bar)
노면표지 시설의 일종으로 가늘고 긴 대형의 도로못으로서 시선유도 기능과 자동차가 그 위를 통과할 때에 충격, 진동을 받음으로써 운전자에게 차선이탈을 경고하는 기능을 가짐.
책임측량사 (責任測量士, quantity surveyor)
책임측량사는 측량의 전공정을 책임지는 기술자로서 적지선정, 착공, 기성고, 준공, 준공후 경년변화 조사점검 및 각종 물량계산과 평가 등의 전공정을 책임 관리함. 공사진행에 필수요원으로 정밀 미려한 공사에 기여하는 측량사로 QS라고 함.
처분 (處分, disposal)
하수처리의 경우 처리수의 공공수역내 방류 또는 슬러지의 해양투기, 유효이용, 매립 등을 말함.
처짐 ( - , deflection)
① 구조물이 하중을 받아 변형할 때, 구조물내의 한 절점이 이동한 방향과 거리.
② 포장의 구조적인 지지력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포장체가 얼마나 튼튼한지를 보여줌. 측정할때는 일정하중을 포장체에 가한 후 다양한 지점에서 포장체의 수직변위량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음.
처짐각 ( - 角, deflection angle)
처짐곡선의 접선과 부재의 변형전 재축이 이루는 각도.
처짐-각 방정식 ( - 角 方程式, slope-deflection equation)
부재 재단 모멘트를 재단 회전각과 부재 회전각에 의하여 나타낸 방정식.
처짐-각법 ( - 角法, slope-deflection method)
변위법의 일종으로서 절점 회전각과 부재 회전각을 미지수로하여 적합조건을 먼저 적용하고 최종적으로 절점에서의 평형방정식을 적용하여 구조물을 해석하는 방법. 주로 들보의 해석이나 라멘의 해석에 사용됨
처짐 곡선 ( - 曲線, deflection curve)
부재가 하중을 받아서 변형하였을 때, 그 중심선이 이루는 곡선.
천공 (穿孔, boring)
발파하기 위하여 폭약 장진용의 구멍을 착암기 등으로 뚫는 것. 천공수, 위치, 방향, 깊이 등은 폭파효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침. 구멍뚫기라고도 함.
천공기 (穿孔機, punching machine)
분수전을 연결할때 배수관에 구멍을 뚫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계.
천공능력 (穿孔能力, drill performance)
드릴로 천공할 때의 단위시간당의 천공 깊이.
천구좌표계 (天球座標系, celestial coordinate system)
지구상의 각 지점을 위도와 경도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천구상 천체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면좌표계로 지평좌표, 적도좌표, 황도좌표, 은하좌표가 있음.
천단지지공 (天端支持工, fore piling)
터널 굴착시 터널 막장 전면에 파쇄대 등이 나타나 발파후에 붕락이 예상되는 경우에 붕락을 방지하고 지반의 이완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터널 천단부에 강재를 삽입하여 보강하는 작업.
천단침하 (天端沈下, crown settlement)
터널 천정부의 처짐량을 말하며 터널주변 원지반의 안정확인과 록볼트, 뿜어붙이기 콘크리트 등의 지보공 효과를 파악하고 내공단면 유효고(有效高)를 파악하는데 이용됨. 터널 천단에 측점을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천공하기 전, 천공한 후, 뿜어붙이기 콘크리트한 후, 록볼트한 후 등으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침하가 수렴될 때까지 측정을 실시함.
천드릴 ( - , churn drill)
비트를 무거운 철봉과 와이어로우프에 매어 달아 낙하시켜 대구경 발파용의 천공을 하는 착암기.
천문경위도 (天文經緯度, astronomical longitude and latitude)
지오이드에 기준하여 천문측량에 의해 구해진 위도와 경도.
천문조 (天文潮, astronomical tide)
조석 현상중 달 및 태양과 같은 천체의 운동에 의한 기조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조석.
천문측량 (天文測量, astronomical positioning)
별 및 태양관측에 의한 경도, 위도, 방위각 및 시를 결정하는 측량방법.
천분율 (千分率, permillage, permill)
구배표시단위(수평거리 1,000에 대한 고저차).
천수 (淺水, shallow water)
수심에 대한 파장의 비를 나타내는 상대수심이 매우 작아 분산관계식으로부터 파속이 수심만의 함수가 되는 조건을 말함. 통상 상대수심이 0.05보다 작은 경우를 말함.
천연가스 (天然 - , natural gas)
넓게는 천연으로 지중에서 산출하는 가스를 말하지만, 보통은 탄화수소 특히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가연성 가스로서, 석유계의 유전 지대에서 나는 습성가스와 유전지대 이외에서 나는 건성가스가 있음.
천연경량골재 (天然輕量骨材, natural lightweight aggregate)
천연적으로 산출되는 경량골재. 예를들어 경석, 화산암, 응회암 등임.
천연시멘트 (天然 - , nature cement)
점토질석회석을 탄산가스를 유출하는데 필요한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소성해서 최종적으로 분쇄해서 얻어진 제품.
천연 아스팔트 (天然 - , native asphalt)
원유가 지상에 유출하거나 암석 사이에 침투하여 휘발성 부분이 증발 혹은 일광, 공기 등의 작용으로 산화, 중합되는 등 변질되어 생긴 천연산의 아스팔트.
천이영역 (遷移領域, transition region)
흐름이 층류에서 난류로 혹은 그 반대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완전한 층류도 완전한 난류도 아닌 영역.
천이온도 (遷移溫度, transition temperature)
재료가 어떤 온도를 경계로 해서 파괴형식이 급격하게 변하는 온도. 일반적으로 연성파괴에서 취성파괴로 변하는 온도범위.
천정 (淺井, shallow well)
→ 얕은 우물. → 천정호.
천정각거리 (天頂角距離, zenith distance)
관측자의 천정으로부터 대상물까지 하향으로 관측한 각. 천정각이라고도 함.
천정천 (淺井川, ceiling stream)
유사의 퇴적으로 하상이 상승되어 제내지보다도 높아진 하천.
천정크레인 (天井 - , overhead crane)
천정에 설치한 레일에 따라 옆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한 감아올리는 윈치가 달린 크레인.
천정호 (淺井戶, shallow well)
① 지표로부터 최초의 불투수층보다 위에 있는 지하수 또는 복류수를 취수하는 우물.
② 펌프의 뽑아 올리는 능력으로 구분하면 대기압은 수주 10m이지만, 뽑아 올릴 때의 저항손실을 고려해서 흡수면의 깊이를 약 7m이내로 한 것으로서 이 범위내의 우물을 말함. 이와 반대되는 것을 심정호라 함.
천차대 (遷車台, transfer table)
병행되어 있는 선군의 중간에 대차를 설치하여 차량을 적재하고 한 선에서 타선으로 전환시키는 장비로 협소한 구내 또는 공장내에 많이 설치됨.
천해파 (淺海波, shallow water wave)
수심에 비해 파장이 상대적으로 매우 긴 장파로서, 통상 수심이 파장의 1/20보다 작은 경우 천해파로 분류함.
철 (鐵, iron, ferrum)
원소기소 Fe, 원자번호 26, 원소량 55.85, 융점 1580 ℃, 비중 7.86인 금속원소의 대표적인 것. 일반적으로 철이라 부르는 것은 C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C이외에 소량의 Si, Mn, P, S 등이 혼합되어 있음. 공업용 금속재료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
철강 (鐵鋼, iron and steel)
압연, 단조, 취발 또는 주조 등의 각종 방법으로 소요형상으로 가공된 강의 총칭을 강재(steel product)라 함. 이것의 소재로 되는 강괴(강괴)(연속주편 또는 주편을 포함)와 주강의 총칭을 조강(crude steel)이라 함. 강과 주철, 연철을 총칭하여 철강이라 함.
철골건축물 (鐵骨建築物, steel skeleton building)
주요 구조부가 철골구조로 된 건축물.
철골공사 (鐵骨工事, steel work)
철골부재의 가공 조립하는 공사.
철골구조 (鐵骨構造, steel construction / structure / skeleton construction)
골조에 강재를 사용한 구조. 근래에는 강구조라 부르고 있음.
철골철근콘크리트 (鐵骨鐵筋 - ,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철골의 뼈대 둘레를 철근으로 둘러 쌓아서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철광석골재콘크리트 (鐵鑛石骨材 - , ferrous aggregate concrete)
콘크리트에 철광석을 넣어 보강한 콘크리트.
철근 (鐵筋, reinforcement)
콘크리트 속에 묻어서 콘크리트를 보강하고, 외력에 대하여 양자가 일체로 작용하도록 배치한 강봉.
철근가공기 (鐵筋加工機, bar bender)
철근의 가공에 사용하는 도구.
철근공 (鐵筋工, steel bender)
철근의 가공 및 조립을 하는 기능자.
철근덮개 (鐵筋 - , bar cover)
철근을 보호하고 철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근 바깥쪽으로 설치하는 콘크리트 층.
철근비 (鐵筋比, steel ratio)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단면에 있어서 철근 단면적과 콘크리트 단면적과의 비.
철근연결기 (鐵筋連結機, bar coupler)
철근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철근의 겹이음이 불가능한 경우에 사용함.
철근 이음 (鐵筋 - , bar splice)
겹치거나, 용접하거나, 또는 기계적 장치에 의하거나 하여 철근을 접속하는 것.
철근주장 (鐵筋周長, perimeter of reinforcement)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단면에 있어서 철근 단면의 주변의 길이.
철근콘크리트 (鐵筋 - , reinforced concrete)
철근으로 보강한 콘크리트로서 외력에 대하여 양자가 일체로 되어 작용하는 것.
철근콘크리트엘형연석 (鐵筋 - 型緣石, L-form curb of reinforced concrete)
철근콘크리트로 만든 L형 도로측구연석.
철근콘크리트 침목 (鐵筋 - 枕木, reinforced concrete sleeper / concrete tie)
철근 콘크리트 재질의 침목.
철근콘크리트 포장 (鐵筋 - 鋪裝,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중간에 철근을 삽입하여 슬래브를 보강한 콘크리트 포장으로서 기층의 지지력이 불규칙한 경우나 성토부의 교량 등 구조물과의 접속부에 사용함.
철도 (鐵道, railroad, railway)
침목위에 철재의 레일를 시설한 궤도위를 특수한 바퀴로 된 차량으로 여객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설비를 말함.
철도개량 (鐵道改良, reconstruction of railway, railway improvement)
기설철도의 선로를 증설하여 복선화하거나 곡선 및 구배를 개량하여 수송력의 증강을 도모하는 것임.
철도계획 (鐵道計劃, railway planning)
철도계획의 장래 계획으로 투자계획과 영업계획으로 대별됨.
철도공학 (鐵道工學, railway engineering)
철도의 건설, 운영, 보수 등에 필요한 기술상의 학문.
철도교 (鐵道橋, railway bridge)
철도를 통하게 하는 다리.
철도대중교통(수단) (鐵道大衆交通(手段), rail transit)
철로를 이용한 궤도 대중교통의 한 수단으로서 전차(streetcars), 경전철(light rail transit), 도시고속전철(rail rapid transit), 지역철도(regional rail) 등과 같은 대중교통수단을 포함함.
철도방비림 (鐵道防備林, forest for defence of track)
철도를 재해로 부터 지키기 위한 방호수단의 일환으로 철도연변에 조림한 삼림.
철도보수 (鐵道補修, maintenance of railway)
열차가 안전하고 승차감이 좋게 주행하도록 선로 및 차량 등 시설물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 관리하는 것.
철도부설 (鐵道敷設, construction / building of railway)
선로를 증설하거나 신설하는 것.
철도부설권 (鐵道敷設權, railway building concession / charter)
철도를 부설하는 권리.
철륜 롤러 (鐵輪 - , steel-wheel roller)
철제의 차륜을 가진 로울러의 총칭. 타이어로울러에 대응한 것.
철망 (鐵網, wire mesh)
포장콘크리트에 매설할 수 있도록 지름 4~6 mm의 철근을 격자형으로 엮은 것.
철망콘크리트슬래브 (鐵網 - , wire mesh concrete plate)
철망을 표면으로부터 5~8 cm의 깊이에 매설한 콘크리트포장슬래브. 슬래브에 생긴 균열이 크게 벌어지지 않고 울퉁불퉁하게 되지도 않음.
철망 콘크리트 포장 (鐵網 - 鋪裝, concrete slab with wir mesh)
철망을 삽입한 콘크리트 포장 슬래브로서 일반적으로 6 mm의 원형 또는 이형강을 격자형으로결속하고 포장하는 것.
철박테리아 (鐵 - , iron bacteria)
몸의 둘레나 그 체내에 철화합물의 침전이 생성되는 세균류. 제일철화합물을 산화해서 제이철화합물을 만들 때에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해서 무기 탄소동화작용을 하는 박테리아. 철세균이라고도 함.
철분시멘트 (鐵紛 - , iron powder cement)
미세한 철분을 첨가한 시멘트. 방수용으로 씀.
철선돌망태 (鐵線 - , wire cylinder)
돌망태의 일종. 철선으로 엮은 돌망태. 각종 형상과 치수의 것이 있고 쉽게 구할 수 있어 널리 쓰임. 산성하천 또는 상류부 등에서 호박돌이 철선을 절단할 염려가 있는 장소에는 적합치 않음.
철시멘트 (鐵 - , iron cement)
포틀랜드 시멘트에서 알루미나를 감소시키고 산화철을 많이 넣은 것.
철침목 (鐵枕木, steel tie)
철도초기 1860년경 영국에서 시험적으로 사용된 이후 독일․스위스에서 많이 사용된 강재로 된 침목.
철탑 (鐵塔, steel tower)
가공 송전선로에 있어서 가보선지지물중에, 형강 강판 강관 평강 봉강 등으로 구성되고 철탑의 가정하중에 의해 설계되는 것.
첨가금속 (添加金屬, filler metal)
아크용접에서 사용하는 전극봉에 첨가되는 금속.
첨가물 (添加物, addition)
수경성시멘트를 제조할 떄 일정양을 가하는 물질. 시멘트의 제조, 다루기를 돕는 가공조제(예를들면 분쇄조제)와 최종제품의 사용목적을 바꾸는 기능조제(예를들면 AE시멘트에서의 AE제).
첨단레일 (尖端 - , tongue rail)
분기기의 포인트부에 있어서 레일 첨단이 얇게 삭정되어 가동하는 레일.
첨단포인트 (“尖端轉轍器”, split / point switch)
구조에 따른 포인트의 한 종류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양의 포인트이며 2개의 첨단레일을 설치함. 이것은 열차의 주행을 원할하게 하나 첨단부의 선단이 손상되기 쉬우므로 각종의 단면 형상으로 선단부 보강을 고려하여야 함.
첨두부하 (尖頭負荷, peak load)
하루 동안 부하변동에서 가장 큰 값의 부하. 첨두부하는 낮 동안에서 초저녁에 발생하며, 수력발전에 의하여 이 부하변동을 조절공급하는 것으로 하고 있음.
첨두부하발전소 (尖頭負荷發電所, peak load plant / station)
전력부하의 특성에 따른 분류로서 하루 여덟 시간 미만에 발생하는 전력부하를 담당하기 위한 발전소.
첨두시간 (尖頭時間, peak hour)
일반적으로 수요량 등 부하는 시간별로 큰 변동을 보이는데,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는 시간을 말함.
첨두시간계수 (尖頭時間係數, peak hour factor)
15분 첨두교통량을 한시간 단위로 나타낸 값(교통유율)에 대한 한시간 교통량의 비로서 교통량의 안정성(변동)을 나타내는 것임.
첨두시간교통량 (尖頭時間交通量, peak hourly volume)
하루 중 교통량이 가장 큰 한 시간 교통량.
첨두홍수량 (尖頭洪水量, peak flood)
수공구조물의 설계에 있어서 그 구조물이 소통해야 할 최대 홍수량을 뜻하며, 대부분의 경우 구조물의 설계 홍수량과 동일한 뜻으로 사용됨.
첨접 (添接, splice)
강구조물의 부재접합에 있어서 접합하는 측면에 소요단면의 강재를 첨가하여 리벳 볼트 필렛용접 등으로 접합하는 것. 덧판이음이라고도 함.
첩수로 (捷水路, short cut)
하도의 홍수소통을 원활히 하기위해 하천의 만곡부에 직선으로 여는 수로.
첩수로비 (捷水路比, cut-off ratio)
원하천의 길이와 첩수로 길이의 비.
청니 (靑泥, blue mud)
청색을 나타내는 해저의 이질 퇴적물.
청열취성 (靑熱脆性, blue shortness)
탄소강은 200~300 ℃에서 인장강도, 경도가 제일 크고 연신율은 제일 작아짐. 이와같은 상태에서 산화에 의하여 청색을 나타내는 것.
청정하천 (淸淨河川, clean river)
오염을 느낄 수 없는 하천.
체가름시험 ( - 試驗, sieve analysis)
정해진 눈금을 가진 일련의 체에 건조 시료를 넣어 통과 시킨 후 각 체에 남는 양을 계산하고 체를 통과한 누가중량백분율을 구하여 입도 분포 곡선을 그려서 입도를 판단하는 방법의 시험.
체계계획과정 (體系計劃過程, system planning process)
계획자체를 목표나 범위에 따라 그 구성요소들을 체계적으로 조직화하여 계획의 성격에 따라 부분 또는 전체를 정확히 파악함으로서 부분간의 상관성(inter-relation) 또는 내재하고 있는 문제점 등을 알아낼 뿐 아니라 객관성 있는 계획대안을 찾는 합리적인 계획입안과정 또는 접근방법.
체계공학 (體系工學, system engineering)
서로 독립적이면서 공통적인 목표를 위해 존재하는 시스템 구성요소에 대한 설계와 개발을 주 관심대상으로하는 연구분야.
체력 (體力, body force)
중력이나 관성력과 같이 물체를 구성하는 각 질점에 분포되어 작용하는 힘.
체류시간 (滯留時間, ① detention / retention time ② residence time)
① 오수 처리장치 등의 용적을 유체의 처리속도로 나눈 값. 처리장치의 처리능력을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가 되는 것으로서 체류시간이 작게되면 처리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함.
② 폐쇄성 내안 등에서 외해로부터 유입된 해수가 다시 외해로 방출될 때까지의 만내에 체류하는 시간을 나타내며 체류시간이 길수록 만내 수질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음.
체분석 ( - 分析, seive analysis)
체를 이용한 골재의 입도분석 방법. → 체가름시험.
체인 (“鎖”, chain)
쇠사슬. 금속제의 고리를 여러개 연결한 것.
체인블록 ( - , chain block)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체인과 치차장치로 손쉽게 중량물을 달아올리는 장치. 인력으로 조작하는 것을 말함.
체인용강 ( - 用鋼, chain steel)
체인 제작용의 저탄소강의 단강.
체인커튼 ( - , chain curtain)
대괴를 취급하는 피더의 배출구에 무거운 추를 발처럼 늘어뜨려 재료가 급격히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
체인케이블 ( - , chain cable)
초기의 현수교에 주로 사용되었던 체인식 케이블.
체인호이스트 ( - , chain hoist)
광의로는 체인블록과 같음. 협의로는 전동기로 움직이는 체인블록을 말함.
체 잔류물 시험 ( - 殘留物 試驗, test for residue retained)
유화 아스팔트중에 아스팔트 입자가 굵은가 또는 덩어리가 없는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는 시험.
체적밀도 (體積密度, bulk density)
공극과 물을 포함한 어떤 물질의 단위 부피 당 무게.
체적방법 (體積方法, volumetric method)
그라우트의 브리딩률 및 팽창률 실험방법의 일종. 폴리에틸렌 대(袋)에 약 400 mL의 그라우트를 넣고 이것을 물이든 메스실린더 속에 넣어 그라우트의 팽창체적을 메스실린더의 눈금에서 읽어내는 방법임.
체적배합 (體積配合, volume mix)
콘크리트의 배합을 용적으로 표시하는 배합. 용적배합이라고도 함.
체적변형계수 (體積變形係數, bulk modulus)
응력성분을 체적변형률로 나눈값. 특히 흙의 체적탄성계수를 칭함.
체적변형률 (體積變形率, volumetric strain)
단위 체적에 대응하는 체적의 변화.
체적 변화 (體積變化, volume change)
어떤 물체에 외부하중이 작용하여 발생한 변형에 의하여 주어진 물체의 원래의 체적이 변화하는 것.
체적 변형 (體積變形, volumetric strain, bulk strain)
응력을 받고있는 물체내의 한 점을 둘러 싼 미소요소의 원래 체적에 대한 체적 증분의 비로서 한 점에서의 직교좌표 방향 수직 변형의 합으로 표시됨.
체적비중 (體積比重, bulk specitic gravity)
표면 건조 포화상태의 비중, 골재의 내부 공극이 물로 차 있고 표면은 마른 상태의 비중으로 골재의 표면건조 포화상태 중량을 표면건조 포화상태 체적으로 나눈 값.
체적탄성계수 (體積彈性係數, bulk modulus of elasticity)
탄성체에 균일한 응력 σ가 3방향에서 작용하여 그 체적이 V에서 △V 만큼 변화하였을 때 체적변형 와 응력σ 사이의 비례상수로서 로 표시됨. 여기서, E : 탄성계수, ν : 포아송비.
체적파 (體積波, body wave)
탄성파 지반내부를 탄성파속도로서 전파하는 파동으로서 P파와 S파로 나누어짐.
체진동기 ( - 振動機, sieve machine)
체를 진동시키는 장치.
체질 ( - , screening)
굵을골재나 잔골재를 체가름하기 위하여 체로 치는 것.
체크비트 ( - , check bit)
코어(core)상에 또는 자기테이프 상의 정보가 어떤 원인으로 다른 부호화한 경우 그것이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여분의 비트(bit)를 말하며 흔히 parity check라고도 함.
체킹 ( - , checking)
모르터 또는 콘크리트 표면에 가는 균열이 불규칙한 간격으로 발생하는 것.
첵커드 플레이트 ( - , checkered steel plate)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다이아몬드형이나 격자형의 산을 붙인 강판. 형강판이라고도 함. 체크플레이트라고도 함.
초과강수량 (超過降水量, excessive precipitation, precipitation excess)
일정지역 내에 내린 강수량 중 투수량과 증발산량 및 기타 손실량을 뺀 강수량의 크기를 말하며 직접 유출의 근원이 되는 강수량.
초과강우량 (超過降雨量, net rainfall, rainfall excess)
강우량에서 침투에 의한 손실을 뺀 것.
초과저수량 (超過貯水量, surcharge, surcharge storage)
저수지의 상시만수위면 이상에 저류되는 잠정적인 수량으로, 홍수시에 일시적으로 저류되는 저수량을 말함.
초과확률 (超過確率, probability of exceedance)
특정 규모보다 같거나 큰 수위, 유량, 강수량이 발생하는 확률.
초급경시멘트 (超急硬 - , extrarapid hardening cement)
수분이내에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시멘트.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규산나트륨 등을 주성분으로 함.
초기강도 (初期强度, early strength)
콘크리트나 모르터에 쳐 넣을 당초의 강도. 일반적으로 최초의 72시간의 강도를 말함.
초기건조수축 (初期乾燥收縮, initial dry shrinkage)
일정한 조건하에서 몰드속에 다져넣어 양생한 공시체의 길이와 최초의 건조 후 일정한 길이로 된 공시체 길이의 차. 습윤 상태의 길이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함.
초기 곡률 (初期曲率, initial curvature)
외부하중을 받기전에 부재나 구조물에 이미 발생해 있는 곡률.
초기 균열 (初期龜裂, early-age cracking, premature crack)
콘크리트를 친 직후부터 수시간 사이에 발생하는 균열을 말하는 것으로, 플라스틱(plastic)균열과 침하균열이 있음.
초기 녹색시간 (初期綠色時間, initial green time)
교통 감응식 신호에서 첫 감응까지 부여되는 녹색시간을 말하며 이 값은 사전에 제어기에 입력되며 이 동안에는 감응이 일어나지 않음.
초기동결 (初期凍結, initial freezing)
초기에 온도가 저하하여 액상이 고체상으로 변화하는 것. 특히 물이 얼음으로 되는 현상을 지칭하는것. 일반적으로 동결에 의하여 체적이 팽창하므로 구조물 파손의 한 원인이 됨.
초기 변위 (初期變位, initial deflection)
외부하중을 받기전에 부재나 구조물에 이미 발생해 있는 변위.
초기양생 (初期養生, initial curing)
표면마무리가 끝난 후 계속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을 거칠게 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는 정도로 콘크리트가 경화할 때까지 실시되는 양생.
초기 응력 (初期應力, initial stress)
외부하중을 받기전에 부재나 구조물에 존재하는 응력.
초기인장파괴 (初期引張破壞, primary tension failure)
초기 인장력에 의해 파괴되는 것.
초기전압 (初期轉壓, breakdown rolling)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을 부설한 후 다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실시하는 다짐공법으로, 혼합물이 변위를 일으키거나 헤어크렉(hair crack)이 생기지 않을 한도에서 가능한 높은 온도에서 실시함. 일반적으로 「1차 다짐」이라고 하며 로우드 로울러를 사용 2회(1왕복) 실시함.
초기지압 (初期地壓, primary state of ground pressure)
일차지압이라고도하며 지반 내부에 터널 또는 지하 발전소와 같은 공동을 굴착 할 때, 그 이전에 지반에 작용하고 있던 지압을 가르킴. 초기지압의 원인으로는 지반자중에 의한 응력, 지각 변동에 따른 응력, 지형의 영향, 암반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에 의한 응력 등으로 구분됨.
초기침하 (初期沈下, initial settlement)
지반의 탄성침하와 투수성이 큰 모래층의 압축침하와 같이 지반에 하중을 가하면 즉시 일어나는 침하.
초기프리스트레스 (初期 - , initial prestress)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프리스트레스.
초단파 전방향 무선표지시설 (超短波 全方向 無線標識施設, very high-frequency omnirange radio)
항공기에게 자북을 기준으로 한 방위각 정보를 제공하는 항공 보안 무선 시설의 일종. 무지향 표지 시설(NDB)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정밀도 및 안정도가 높음. 약어 : VOR.
초벌마무리 ( - , initial tamping)
피니셔에 의한 기계마무리. 간이피니셔나 템플리트탬퍼에 의한 마무리.
초벌바르기 ( - , rendering)
쇠손 또는 흙손을 사용하는 모르터의 초벌바르기 작업.
초벌바름 (“下塗裝”, undercoating, primercoating)
중도도료나 상도도료를 칠하기 전에 하도도료를 칠하는 것. 도장계에 대한 소지의 악영향을 방지하고 부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용됨.
초생수 (超生水, juvenile water)
산소와 수소가 화도안에서 급격하게 화합하면 폭발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렇게 하여 지각 내부에 있던 물이 처음으로 지표에 나와 수권에 추가된 물을 말함.
초석 (礎石, corner stone)
건물의 기초가 됐던 부위에 설치하는 암석.
초순수 (超純水, ultra pure water)
보통의 순수(pure water), 즉 증류 등에 의해 얻어지는 물의 순도를 넘어서 불순물인 이온이나 미소입자상물질이 보다 더 많이 제거된 물을 말함.
초연약지반 (超軟弱地盤, very soft ground)
수중에 부유퇴적된 오니토나 고함수비의 고유기질토로된 지반을 초연약지반이라 함.
초염기성암 (超鹽基性岩, ultrabasic rock)
규산(SiO2)의 함유량이 45 %이하인 암석을 말함. 맨틀의 상부는 비중이 3.3정도인 초염기성 암석으로 되어 있음. 초염기성암의 종류는 감람암, 사문암, 화강섬록암, 석영섬록암, 몬조나이트 등이 있음.
초음파가공 (超音波加工, ultrasonic machining)
초음파 진동을 하는 공구와 지립을 사용해서 각종의 공작물을 가공을 하는 공작법.
초음파두께측정기 (超音波 - 測定機, ultrasonic thickness detector)
초음파를 사용해서 두께를 측정하는 기구. 초음파는 40,000Hz이상의 음파를 가리킴.
초음파 세정 (超音波 洗淨, ultrasonic cleaning)
금속제품을 청정하는 경우에, 액중에 초음파에 의해 일어나는 캐비테이션(cavitation) 현상을 응용해서 청정력을 높여 청정하는것. 청정액으로는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제, 석유계 용제, 알카리 탈지제, 유제크리너 등을 사용함.
초음파탐상검사 (超音波探傷檢査, ultrasonic flow detection test)
초음파를 피검사체에 전파하고 그의 음향적성질을 이용해서 재료 내의 결함의 유무를 조사하는 검사.
초음파탐상기 (超音波探傷器, ultrasonic flow detector, ultrasonic rail tester)
초음파에 의하여 레일의 손상을 탐지하는 장비.
초음파 펄스시험 (超音波 - 試驗, ultrasonic pulse test)
공시체의 상하면에 발진기와 수진기를 설치해 변형이 극히적은 범위의 P파와 S파의 속도를 구하는 실내시험.
초장기선간섭계 (超長基線干涉計,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er)
전파신호를 이용하여 지구상 수천 내지 수만 km 떨어진 지점간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위한 장비. 약어 : VLBI.
초크 ( - , chalk)
백색 또는 담색의 연약한 미립의 석회암. 유공충, 기타 해저미생물의 껍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서 중생대 백악기의 지층에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발달하고 있음.
초킹 ( - , chalking)
페인트의 표면 또는 바로 그 하측에 함유된 굳지 않은 분말이 존재하므로서 나타나는 시멘트 페인트 등의 마무리면의 붕괴.
초핑비트 ( - , chopping bit)
보링할 때 로드 또는 로프의 선단에 부착하여 이것을 위로 올리고 낙하시켜서 굴진하는데 쓰이는 끝날.
촉진내후시험 (促進耐候試驗, accelerated weathering test)
강 또는 강재의 도막은 옥외에 노출되면 햇볕. 비, 바람, 대기의 작용을 받아, 부식 또는 약화되는데, 이러한 경향의 일부를 짧은 시간에 시험하기 위하여 자외선 또는 태양광에 가까운 광선을 조사하거나, 물 또는 염수를 살포하는 등의 인공적인 시험방법.
촉진양생 (促進養生, accelerating curing)
콘크리트의 경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양생. 예컨데 증기양생 등.
촉진제 (促進劑, accelerator)
시멘트의 응결을 촉진하여 콘크리트의 초기강도를 증대시키는 혼화제. 일반적으로 염화칼슘이 사용됨.
총고형물 (總固形物, total solid)
시료수중에서 순수한 물을 제외한 모든 물질의 합. 시험법은 증발잔류물과 같음.
총낙차 (總落差, gross head)
취수구 와 방수구의 수위차.
총다지기 (總 - , overall tamping of ballast)
궤도틀림을 보수하는 작업의 일종으로 도상 다지기 작업.
총량규제 (總量規制, areawide total pollutant load control)
일정 지역내의 오염물질(또는 오탁물질)의 배출총량을 환경보전상 허용가능한 한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공장 등에 대해 오염물질의 허용배출량을 배분하고, 이 양을 가지고 규제하는 방법.
총산소요구량 (總酸素要求量, total oxygen demand)
기기분석법에 의해 폐수 중의 유기물 함유량을 측정하는 단위. 시료를 연소시킬 때, 시료중의 유기물의 구성성분인 탄소, 수소, 질소, 유황, 인 등에 의해 소비되는 산소의 량으로서 유기오염지표의 하나임.
총수두 (總水頭, total head)
유속수두, 압력수두 그리고 위치수두를 더한 것. → 전수두.
총압력 (總壓力, total pressure)
정체압력이라고도 하며, 정압력과 동압력을 더한 것.
총에너지 (總 - , total energy)
어떤 물체가 가지고 있는 위치에너지, 압력에너지, 운동에너지등 모든 에너지의 총합.
총액도급계약 (總額都給契約, lump sum contract)
공사비의 총액을 도급액으로 정한 도급계약. 정액도급이라고도 함.
총여유시간 (總餘裕時間, total float time)
전체공기의 연장이 없이 어느 활동이 가지는 총여유시간.
총 예비 연료 (總 豫備 燃料, total reserve fuel)
목적지 비행장에 예정대로 도착한 경우에 계획상 잔존해 있어야 할 연료의 중량. 여기에는 보정 연료(contingency fuel), 대체연료(alternate fuel), 대기연료(holding fuel), 보충연료(extra fuel)가 포함됨.
총유기탄소 (總有機炭素, total organic carbon)
수중에 존재하는 유기물의 주된 구성물질로서 들어있는 탄소량. 수질의 오염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됨.
총저수용량 (總貯水容量, total storage / gross reservoir capacity)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활용가능공간과 사수량의 합으로서, 다목적댐에서는 홍수위로부터, 단일목적댐에서는 만수위로부터 바닥까지 부피를 말함.
총증발잔류물 (總蒸發殘留物, total residual solids)
→ 증발잔류물.
총통행시간 (總通行時間, total travel time)
→ 여행시간.
촬영계획 (撮影計劃, flight planning)
필요한 정확도로서 가장 경제적으로 항공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촬영고도, 촬영사진기, 촬영경로 및 중복도, 표정점배치, 촬영계획도작성, 촬영 및 기준점 측량의 작업량 산정 등을 고려함.
촬영기선 (撮影基線, air base)
사진측량에서 연속된 사진의 인접 촬영점간의 거리.
촬영점 (撮影點, camera / exposure station)
사진측량에서 사진촬영시의 렌즈위치.
최경강 (最硬鋼, most harding steel)
0.50~0.60 % 의 탄소를 함유한 강으로 강선 스프링 등으로 사용됨. → 구조용강.
최고속도 (最高速度, maximum speed)
차량 운행 최고속도로 설계최고속도와 영업최고속도가 있음.
최고 수위 (最高 水位, highest water level, maximum stage)
관측된 수위중 가장 높은 수위.
최급구배 (最急勾配, maximum / steepest grade)
열차운전 구간중 경사가 가장 심한 구배값.
최대가능강수량 (最大可能降水量,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 가능최대강수량.
최대가능강우량 (最大可能降雨量, maximum probable rainfall)
주어진 유역 또는 배수구역에서, 존재하는 기후조건 아래에서 물리적으로 발생가능한 최대강우량. 가능최대강우량이라고도 함.
최대가능홍수량 (最大可能洪水量, probable maximum flood)
→ 가능최대홍수량.
최대건조밀도 (最大乾燥密度, maximum dry density)
흙의 다짐시험 결과로 얻은 함수비-건조밀도 관계곡선의 최대점에 해당하는 건조밀도를 말함.
최대비중(아스팔트 혼합물의) (最大比重( - 混合物), maximum specific gravity)
혼합물의 시험에 쓰이는 공시체의 공극률을 산출할 때 기본이 되는 것으로 이론상의 최대밀도를 의미하며, 이는 각 재료별로 측정한 비중과 배합률로써 산출할 수 있음. 일명 「이론 최대밀도」라 함.
최대사용수량 (最大使用水量, maximum plant discharge)
사용수량 중에서 가장 큰 것.
최대서비스교통량 (最大 - 交通量, maximum service flow)
주어진 도로조건, 교통조건 아래에서 주어진 서비스 수준을 유지하며 도로 또는 차선의 구간이나 지점을 통과할 수 있는 최대교통량.
최대 오르막속도 (最大 - 速度, crawl speed)
상당히 긴 상향구배지에서 충분히 속도저하가 발생한 후 나타나는 차량성능 한계속도.
최대응력 (最大應力, peak stress)
항복과 파괴를 생기게 하는 응력중 최대값을 말함.
최대 이동중량 (最大 移動重量, maximum ramp weight)
공항 계류장에 주기한 항공기에 이동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적재하였을 때의 하중. 항공기 하중중 가장 무거움.
최대이륙중량 (最大離陸重量, maximum take-off weight)
항공기가 활주로에서 이륙할 때 가지는 최대 중량. 최대 이동 중량에서 활주로까지 이동하는 연료 중량을 뺀 중량으로 공항 포장 설계시 사용함.
최대입경(골재의) (最大粒徑, maximum size)
대소의 골재입자가 섞여 있는 보조기층 재료와 아스팔트 혼합물의 골재 가운데 가장 큰 입자의 크기를 말함.
최대전단강도 (最大剪斷强度, peak shear strength)
재료가 파괴에 이르기 직전의 전단응력을 최대전단응력이라하며 이 응력을 최대전단강도라 함.
최대착륙중량 (最大着陸重量, maximum structural landing weight)
항공기가 착륙시 구조적으로 견딜 수 있는 항공기의 최대중량. 최대이륙중량보다 작음.
최대축중 (最大軸重, maximum axial load)
1개 차량이 부담할 수 있는 최대의 중량으로 차량 최대 허용하중을 축수로 나눈 것.
최대출력 (最大出力, maximum power)
최대사용수량에 대응하는 발전소의 출력.
최대파 (最大波, maximum wave)
파군 중에서 최대의 파고를 나타내는 파. Hmax
최대파고 (最大波高, maximum wave height)
최대파의 파고.
최대폭두께비 (“最大幅厚比”, maximum width to thickness ratio)
부재 단면을 구성하는 판요소의 국부좌굴에 대한 안전을 기하기 위해 정한 강판의 폭과 두께와의 비의 상한치.
최대허용농도 (最大許容濃度, maximum permissible concentration)
물 또는 공기를 장기간에 걸쳐 섭취 또는 호흡한 경우, 체내에 들어온 물질이 신체장애를 일으키지 않는다고 생각되는 농도의 최대치임.
최대허용처짐 (最大許容 - , maximum allowable deflection)
어떤 구조물에 대하여 시방서 규정에서 허용하는 최대처짐.
최대 회전 반지름 (最大回轉半徑, maximum radius of gyration)
단면의 도심을 통하는 축에 대한 단면 2차모멘트 중 최대값을 단면적으로 나눈 것의 제곱근.
최소곡선반경 (最小曲線半徑, minimum radius of curve)
선로구간중 가장 작은 곡선 반경으로 가능한 한 큰 것이 좋으나, 불가피하게 반경이 작은 곡선을 두어야 할 경우, 궤간, 열차속도, 차량의 고정축거 등에 따라 최소로 제한한 곡선반경.
최소곡선장 (最小曲線長, minimum curve length)
자동차 운전자가 핸들조작에 곤란을 느끼지 않고 원심가속도의 변화율이 크지 않게 하며, 교각이 작은 경우 곡선반경이 실제보다 작아 보이는 착각을 막을 정도의 길이로써 도로의 선형상 각 설계 속도에 따라 필요한 최소의 곡선 길이.
최소구배 (最小勾配, minimum grade)
배수 등의 사유로 선로구배의 최저값을 제한하는 구배.
최소기층두께 (最小基層 - , minimum base course thickness)
비행장의 연성 포장 두께를 설계할 때 확보해야 할 기층의 최소 두께. FAA 법에 의한 포장 설계 및 평가시 주로 사용되며 총포장두께와 노상(路床)층의 CBR 값에 따라 두께가 다르게 됨.
최소녹색시간 (最小綠色時間, minimum green time)
교통간음신호에서 사용되는 신호제어 값으로 적색신호 동안 검지기와 정지선 사이에서 있을 수 있는 최대차량대수가 교차로에 진입하는데 필요한 시간인 초기녹색시간과 초기녹색시간 직후에 한 대의 차량이 검지기로부터 교차로에 진입하는데 필요한 시간인 단위연장시간의 합.
최소시멘트사용량 (最小 - 使用量, minimum cement content)
허용된 최소의 단위시멘트량.
최소일의 원리 (最小 - 原理, principle of least work)
부정정구조에 있어서 평형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정정력의 값은 무수히 많지만 그 중에서 구조물 내에 저장되는 변형에너지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부정정력이 참값이라는 정리.
최소 자승법 (最小自乘法, least square method)
실험 또는 관측 등에 의하여 얻어진 자료에 대한 회기곡선식을 구성할 때, 일단 가정한 회기곡선식의 형태에 대하여, 그 곡선식과 각 자료치의 차이의 제곱의 합을 최소화하는 조건으로부터 가정 회기곡선식의 계수를 구하는 방법.
최소전단철근 (最小剪斷鐵筋, minimum shear reinforcement)
구조물에서 전단에 대한 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전단철근.
최소철근비 (最小鐵筋比, minimum reinforcement ratio)
인장철근을 지나치게 적게 넣음으로서 인장균열의 발생과 동시에 갑작스런 파괴가 일어남. 이러한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시방서에서 규정한 정철근의 철근비의 하한값.
최소최대응력비 (最小最大應力比, stress ratio)
주기적 외력이 반복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최소응력과 최대응력에 대한 비. R=σmin/σmax.
최소 포텐셜 에너지 정리 (最小 - 定理, principle of minimum potential energy)
구조계에서 기하학적 경계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변형형태 중 평형조건을 만족시키는 변형형태에서는 포텐셜 에너지가 최소치를 가진다는 정리.
최소회전반경 (最小回轉半徑, minimum turning radius)
자동차가 최소로 원회전할 경우 전륜외측 궤적의 반지름.
최소 회전 반지름 (“最小回轉半經”, minimum radius of gyration)
단면의 도심을 통하는 축에 대한 단면 2차모멘트 중 최소값을 단면적으로 나눈 것의 제곱근.
최저저수위 (最低貯水位, minimum pool level, minimum reservoir level)
저수지의 최저수위.
최저저조면 (最低低潮面, lowest low water level)
조석에 의해 수면이 그 이상 낮아지지 않는 수준면. 실제로는 주요 4분조(M2, S2, K1, O1)의 반조차(半潮差)합계 만큼이 평균해수면보다 낮은 약최저저조면(nearly LLWL)을 수심의 기준면으로 삼으며 이를 기본수준면이라 함.
최적 구조물 (最適構造物, optimum structure)
구조물에 요구되는 기능 및 안전성을 만족시키면서 건설비용, 재료중량, 체적 등 기준으로 하는 량을 최소로 하는 구조물.
최적수리단면 (最適水理斷面, best hydraulic section)
→ 수리상 유리한 단면.
최적아스팔트량 (最適 - 量, optimum asphalt content)
아스팔트의 혼합에 있어서 사용목적에 따라 실용성상이 가장 우수하도록 결정된 최적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최적의 아스팔트량.
최적함수비 (最適含水比, optimum moisture content)
흙의 다짐곡선에서 최대건조밀도에 해당되는 함수비를 말함.
최종생화학적산소요구량 (最終生化學的酸素要求量, ultimate BOD)
하수 중의 유기물을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생화학적으로 완전히 산화하는데 필요한 산소의 이론적 요구량[mg/l]. 이론적으로는 무한한 시간이 요구되나 근사적으로는 20일 BOD를 사용함.
최종조임 (最終 - , final tightening)
철골부재의 볼트이음은 미리 가체결 볼트에 의해 재편을 밀착시켜 고장력볼트의 1차, 2차 등의 조임을 함. 최종조임은 전 볼트역이 목표체결력에 도달하도록 조이는 것을 말함. 검사 후에 추가의 조임을 할 때는 추가조임이라 함.
최종침전지 (最終沈澱池, final sedimentation basin)
최초침전지와 대응되는 것으로서, 하수 처리장에서 각종 처리를 행한 후 최종적으로 남아 있는 고형분을 침전시켜서 청징한 처리수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침전지를 말함. 원리적, 구조적으로도 최초침전지와 거의 같음.
최확값 (最確 - , most probable value)
반복관측에 의해서는 참값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하는 가장 확실한 값. 일반적으로 조정 환산한 평균값을 이용함.
최확수 (最確數, most probable number)
대장균군의 정량 시험에 의해 얻어진 단위용적당 수치를 말함. 시료수를 0.01, 0.1, 1.0, 10.0 mL와 순차적으로 10배마다 희석해, 4단계 이상의 것에 대해 각 5개씩 대장균군(群)시험을 행함. 표 또는 계산에 의해 통계적으로 시료수 100 mL 당 MPN값을 구할 수 있음.
추가철근 (追加鐵筋, additional bar)
철근콘크리트에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기타 계산상에 나타나지 않는 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을 받게 하기 위해서 배열하는 철근.
추선법 (錘線法, wire plumbing)
터널이나 광산의 측량에서 지상과 지하를 연결할 때 갱구에서 추를 매단 강선을 내려서 지상점을 지하에 옮기는 방법(강선법).
추월금지구간 (追越禁止區間, no passing zone)
2차선 도로에서 추월시거가 불량하여 안전을 위하여 추월을 금지시킨 구간.
추월시거 (追越視距, passing sight distance)
같은 방향의 진행차량이 있는 경우 전방차량을 안전하게 추월하는데 필요한 거리. 일반적으로 1.0m의 눈 높이에서 높이1.2m의 차량을 확인할 수 있는 도로중심선상의 거리.
추월차선 (追越車線, passing lane)
해당도로의 원활한 교통소통과 통과통행의 효율화를 위하여 고속주행차량이 저속주행차량의 방해를 받지 않고 안전하게 주행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차선.
추재 (秋材, summer wood)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만들어진 목재의 나이테 안 부분. 조직이 치밀하고 단단함.
추적 (追跡, routing)
하도 또는 저수지에서 유입수문곡선에 대해 유출수문곡선을 계산하는 것.
추적기간 (追跡期間, routing period)
저류방정식에서 평형이 유지되는 시간 간격으로, 하천 구간의 유하시간보다 커서는 안되며 보통 유하시간의 1/3 ~ 1/2로 둠.
추적자 (追跡子, tracer)
원소 또는 물질의 물리적 성질을 조사하기 위해 첨가되어 표지로 되는 물질. 트레이서라고도 함. 조사물질의 성질에 변화나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첨가 물질로는 일반적으로 동위체가 사용됨. 표지물질이라고도 함.
추전환기 (錘轉換器, switch stand with weight, weighted point lever)
전철기중 가장 간단한 것으로 주로 첨단레일을 기본레일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함.
추종이론 (追從理論, car following theory)
교통류이론의 한 종류로 일련의 차량 흐름 내에서 움직이는 각 운전자들의 순간적 행동을 설명하는 이론.
추진공법 (推進工法, jacking method)
프리케스트제품의 구조물 본체를 지중에 추진하고 그 내부의 토사를 제거한 후 다시 구조물을 밀어 넣는 반복작업으로 터널을 굴착하는 공법을 말함. 이 공법은 일반적인 굴착방법으로 시공하기 어려운 경우나 곤란한 경우에 적용하고 관로 등의 매설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도로 밑을 횡단하는 대규모 단면에도 사용되고 있음.
추출 (抽出, extraction)
고체 또는 액체 속에서 특정물질만을 용매(용제) 또는 시약 등을 사용하여 분리하는 조작. 목적 성분이 고체에 포함되는 경우를 고체 추출이라 하고, 액체 혼합물 속에 포함되는 경우를 액체 추출이라 함.
추출시험(아스팔트) (抽出試驗 - , extraction test)
아스팔트 혼합물에 포함되는 아스팔트량을 산출하기 위한 시험. 일반적으로 벤젠, 사염화탄소, 염화에치렌 등의 용제로 아스팔트를 용출하고 남은 골재 및 수분의 중량을 처음의 중량에서 빼어 아스팔트량을 구함. 원심분리법, 진동법, soxhlet법, 가열법 등의 방법이 있음.
축 강성 (軸剛性, axial rigidity)
축방향력을 받는 부재에 있어서 축방향 변형에 저항하는 부재의 특성으로서 재료의 탄성계수와 단면적의 곱.
축거리 (軸距離, wheel base)
차축서로의 중심선의 수평거리.
축대칭 (軸對稱, axisymmetry)
평면 도형을 임의의 축에 대하여 360 회전하여 얻는 방사상의 대칭 상태.
축대칭 쉘 (軸對稱 - , axisymmetric shell)
구조의 기하학적 형태와 하중상태가 축대칭인 쉘 구조.
축력 (軸力, axial force)
부재의 재축에 따라 그 부재를 인장 또는 압축하려는 힘.
축력계 (軸力計, axial tension meter)
체결시 볼트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을 계측하는 기구. 고장력볼트의 축력관리에 쓰임.
축력도 (軸力圖, axial force diagram)
외력을 받은 부재에서 부재축을 따라 각 단면에 발생되는 축력의 크기를 나타낸 그림.
축방향력 (軸方向力, axial force)
→ 축력.
축방향 변위 (軸方向變位, axial displacement)
부재 단면의 축방향으로 생긴 변위.
축방향 변형 (軸方向 變形, axial deformation)
부재 단면의 축방향으로 생긴 변형.
축방향 저항력 (軸方向 抵抗力, axial resisting force)
부재의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작용되는 저항력.
축방향 하중 (軸方向 荷重, axial load)
부재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
축변형 (軸變形, axial strain)
축하중의 재하에 의해서 발생되는 축방향 변형.
축전지기관차 (蓄電池機關車, battery locomotive)
축전지를 전원으로 하여 직류전동기로 움직이는 갱내용 기관차.
축제 (築堤, banking embankment)
제방을 시공하는 작업.
축차강결법 (逐次剛結法, successive full joint erection method)
현수교보강구의 가설공사중에서 무보강가설에 대한 공법으로서, 부재를 기설치한 선단에 한쪽지지식으로 강결한 후 조재를 설치하는 공법. 보강형은 축차강결되기 때문에 강성이 높은 구조로 됨.
축차응력 (軸差應力, deviatoric stress)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의 차를 축차응력이라 함.
축척 (縮尺, scale)
지도 또는 도면에 나타난 2점간의 길이와 대응되는 현지점간의 수평거리의 비. 일반적으로 분자를 1로 하여 1/10,000과 같이 나타냄.
축척계수 (縮尺係數, scale factor)
타원체면 또는 구면상의 거리와 평면상의 거리와의 비. 구면거리는 평면거리에 축척계수를 곱하여 구함.
축척분모수 (縮尺分母數, scale denominator)
축척의 분자를 1로 나타낼 때 그 분모값.
축척효과 (縮尺效果, scale effect)
모형실험에서 모형의 축척이 지나치게 크거나 작아서 실제 현상과 상사성을 잃게되는 것.
축하중 (軸荷重, axial load)
① 차량의 1차축에 작용하는 하중. 차량의 종축에 직각인 하나의 평면 내에 중심을 갖는 차륜, 또는 이러한 평면에서 최대의 차륜직경 이상 떨어져 있지 않는 차륜에 의하여 평활한 차도에 미쳐지는 윤하중의 합계를 말함.
② → 축방향 하중.
춘재 (春材, spring wood)
목재 나이테 가운데의 봄부터 여름에 걸쳐 이루어진 부분. 재질이 연함.
출구손실 (出口損失, outlet loss)
큰 수조나 저수지에 관이 연결되었을 때 관의 출구에서 생기는 수두의 손실.
출발 대합실 (出發 待合室, departure lounge)
여객과 환송객의 진입, 대기, 이동, 휴식 등 다양한 행위가 이루어지는 공항의 가장 중심적 공공(公共) 공간.
출발선 (出發線, departure track)
정차장에서 열차의 출발에 주로 사용되는 선로 조성이 끝난 열차가 출발할 때까지 대기하며 차량의 검사, 제동관 연결, 견인기관차 연결, 제동기시험 등의 작업을 함.
출발신호기 (出發信號機, starting signal)
정차장에서 진출하려는 열차에 대한 신호기로써 해당 신호기의 안쪽으로 진입의 가부를 지시함.
출발역 (出發驛, starting station)
선로의 시점에 있는 역으로 열차가 시발하는 역.
출발저항 (出發抵抗, starting resistance)
정지하고 있는 열차가 수평 직선궤도에서 출발할 때 받는 저항.
출발지연시간 (出發遲延時間, start-up delay)
정지선의 첫 번째 차량부터 몇 대의 차량이 통과한 후에는 출발 반응 및 가속의 영향이 사라지므로 그 다음 차량들은 비교적 일정한 차두시간을 나타냄. 이처럼 처음 몇 대의 차량이 일정한 차두시간 이상으로 진행한 증가분을 의미함.
출발 콘코스 (出發 - , departure concourse)
공항에서 보안 검색과 여권 심사를 마친 여객의 탑승을 위해 제공되는 공간. 여기에는 대기하는 공간, 항공사 업무 공간 및 통로로 구성됨.
출입제한 (出入制限, access control)
도로인접지에서 도로로 진입하거나 진출하려는 차량의 통행권을 공공권한에 의거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상태.
충격 (衝擊, impact)
순간적으로 작용하는 힘. 교량 등의 구조물에 있어서는 그 위를 이동하는 활하중이 구조물에 미치는 동적인 영향을 총칭함.
충격 계수 (衝擊係數, impact coefficient)
구조물 설계에서 활하중을 정적인 하중으로 생각하고 동적인 영향 즉 충격을 고려하기 위하여 그 정적 하중에 곱하는 계수.
충격수차 (衝擊水車, impulse water turbine)
물의 유속에너지의 충격에 의하여 회전하는 수차. 펜튼수차가 이에 속함.
충격시험 (衝擊試驗, impact test, percussion test)
금속재료시험의 하나로, 소정의 시험기를 사용하여 노치가 있는 시험편을 보통 일회의 충격에 의해 파괴시켜, 시험편이 흡수한 에너지의 대소에 따라, 재료의 인성(취성)을 판정하는 시험. 아이죠드 충격시험, 살피충격시험 등이 있음.
충격식롤러 (衝擊式 - , impact roller)
비자주식진동 롤러 1축과 주행용 고무타이어 동륜을 가진 진동식 다짐 기계.
충격식착정 (衝擊式鑿井, percussion drilling)
비트의 낙하충격력으로 천공하는 보링, 주입공이나 앵커, 우물내 굴착 등을 목적으로 한 보링에 이용됨.
충격 응력 (衝擊應力, impact stress)
충격에 의하여 일어나는 응력. 교량 등의 구조물에서는 활하중을 정적으로 생각하여 구한 응력에 충격계수를 곱하여 구함.
충격파 (衝擊波, ① impulsive wave ②, ③ shock wave)
① 극히 짧은 시간내에 급격히 작용한 힘이 응력파의 형식으로 전파되는 것.
② 사류의 흐름이 굴곡부에 오면 굴곡하는 점부근에서는 유속이 작아지고, 수면이 상승함. 이 수면상승의 전달속도는 유속보다 작아서 상류측으로 전달될 수 없으므로 그림과 같이 불연속면 OA가 형성됨. 이것을 충격파라고 함.
③ 교통류 중에 발생하는 교통밀도의 불연속면.
그림
충격 하중 (衝擊荷重, impulsive load)
충돌과 같이 물체에 급격히 작용하여 충격을 주는 하중.
충복아치 (充腹 - , solid rib arch)
아치의 리브가 충실한 단면으로 이루어진 아치.
충적선상지 (沖積扇狀地, alluvial cone)
선상지와 유사한 토사퇴적지로 경사가 선상지보다 급함.
충적토 (沖積土, alluvial deposit)
물에 의해 운반 퇴적되는 흙이 상류에는 자갈, 모래 등이 하류에는 실트, 점토, 입자가 작은 모래질 등이 차례로 퇴적되어 형성된 흙.
충적하천 (沖積河川, alluvial river)
물에 의해 운반된 점착 또는 비점착성 물질로 이루어진 하천.
충진탑 (充塡塔, packed column)
기체-액체, 액체-기체 등 두 상(相)간의 물질이동이 이루어질 때 두 상간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각 상간의 흐름을 흐트려 물질 이동속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안에 각종 충전물을 가득 채운 탑. 가스흡수, 증류, 용매추출 등 조작에 이용됨.
취기시험 (臭氣試驗, odor test)
취각으로 취기의 감도를 판정하는 시험으로 취각이 정상이고 건강한 5인 이상의 판정자의 검사결과를 종합하여 종합 취기도를 판정함. 개인차가 크고, 온도와 습도, 측정자의 식사, 끽연 등도 영향을 받음.
취성 (脆性, brittleness)
소성 변형을 거의 동반하지 않고 갑자기 파괴 상태에 도달하는 재료의 성질.
취성도 (脆性度, brittleness index)
재료의 취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서 일반적으로 일축압축강도를 압력시험에 의한 인장강도로 나눈 값으로서 압축강도가 클수록 취성도가 큼.
취성 파괴 (脆性破壞, brittle failure)
어떤 구조물이나 재료가 소성 변형을 거의 동반하지 않고 급격히 파괴되는 현상.
취송거리 (吹送距離, fetch, fetch length)
해면 위의 바람에 의한 파의 발달을 추산할 경우 5∼7.5 ㎧ 이상의 평균풍속이 부는 해역을 바람의 평균방향으로 측정한 길이.
취송류 (吹送流, wind drift / driven current)
해면 위를 부는 바람의 전단력에 의해 해면 부근의 물입자가 움직임으로써 발생하는 흐름.
취수 (取水, water intake)
상수도나 공업용수 등에 이용하기 위하여 수원으로부터 필요한 수량을 끌어들이는 것. 취수를 하는 데는 수원의 종류나 취수량 등에 따라서 취수문, 취수탑, 취수관 등의 취수시설을 필요로 함.
취수관 (取水管, intake pipe)
하천, 호수 또는 저수지로부터 물을 취수하기 위하여 수중에 설치하는 관.
취수댐 (取水 - , intake / diversion dam)
하천 등에서 수로에 물을 취수하기 위하여 설치한 낮은 댐.
취수문 (取水門, intake gate)
취수구에 설치하는 수문. 취수구를 막거나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수문.
취수시설 (取水施設, intake)
저수지, 하천 등에서 수로에 물을 유입시키기 위하여 설치한 시설을 말하며 취수관, 취수탑, 취수문 등이 있음.
취수웨어 (取水 - , intake weir)
용수에 취수에 필요한 수위를 얻기 위하여 설치하는 웨어.
취수탑 (取水塔, intake tower)
하천, 호수 또는 저수지 등에서 물을 취수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탑 모양의 구조물. 취수구를 수면 아래 수심별로 몇 개를 설치하여 수위가 변할 때 어느 수위에서도 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함.
취토장 (取土場, borrow pit)
흙쌓기에 필요한 흙을 파오는 곳.
측거 (測距, distance measurement)
→ 거리측량.
측경간 (測徑間, side span)
다경간의 교량에서 중앙경간, 주경간에 대하여 양단에 가까운 경간.
측관 (側管, bypass pipe)
주로 정수장에서 수선이나 청소를 위하여 일부시설을 거치지 않고 다음 시설로 직접 물을 보내기 위하여 설치한 관. 예를 들어 소규모 정수장에서 침전지를 하나만 설치하여 원수의 탁도가 10도 이내일 때 침전지를 거치지 않고 측관으로 직접 여과지에 물을 보내고 그 사이에 침전지를 수선하거나 청소하는 경우가 있음.
측구 (側溝, side ditch / gutter)
노면 위에 내린 빗물을 빼내기 위하여 도로 또는 철도선로의 측방에 판 L자형이나 U자형의 시설. 옆도랑이라고도 함.
측구식 개착공법 (側溝式 開鑿工法, trench method)
여러 가지 이유에 따라 전단면을 한번에 굴착할 수 없는 경우 구조물의 양측 벽부나 중앙기둥부를 선행 굴착하고 그 부분을 구축하고 다음에 그 중간을 굴착 구축하여 구조물을 완성시키는 것이 트랜치공법임. 이 공법은 근접하여 중요 구조물이 있는 경우 기설 지하철이나 교대밑 등을 터널이 횡단하는 경우에 주변변위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채택되는 특수공법임.
측구여수로 (側溝餘水路, side channel spillway)
물넘이 웨어와 하류로 넘어갈 수로의 중심선이 거의 나란한 측수로로 구성된 여수로의 일종.
측대 (側帶, marginal stripe)
자동차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게 하고 측방여유를 확보하도록 하기 위하여 차도에 접속하여 중앙 분리대 또는 길어깨에 설치되는 띠 모양의 부분.
측도 (側道, frontage road)
고속도로나 주간선도로의 교통류를 보호하고 인접한 도로의 접근성을 통합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설치된 고속도로나 주간선도로변 도로. 일반도로 또는 도시지역도로에서 그 도로가 연도와 고저차가 있거나 또는 환경대책상 차음벽을 연속하여 설치해서 차량이 연도와의 자유로운 출입이 불가능한 경우에 차량이 연도와의 출입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선차도에 병행하여 설치함.
측량계획기관 (測量計劃機關, organization of surveying plan)
측량법에 명시되어 있는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
측량기능사 (測量技能士, surveying technician)
국가기술자격법령상의 기능계 자격분야. 주로 시공측량과 토공설계의 보조업무에 종사함.
측량법 (測量法, law of survey)
토지 및 연안해역의 측량과 지도제작 등에 관한 기준과 제도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1961년 12월 31일 법률 928호로 제정하여 운용되고 있는 법률.
측량사 (測量士, registered surveyor)
측량기술자를 말하며 측지기술사, 측지기사 1급, 측지기사 2급을 대상으로 함.
측량성과 (測量成果, surveying abstracts / data)
측량에서 얻은 최종결과. 성과표, 망도, 지도, 항공사진 등은 측량성과이며 관측수부, 계산부 등은 측량기록에 해당함.
측량심의회 (測量審議會, review committee of surveying data)
측량에 관한 중요한 사항에 대하여 국립지리원장의 자문을 위한 측량법상의 기관.
측량용사진기 (測量用寫眞機, metric camera)
기하학적인 조건(표정위치와 렌즈의 왜곡)이 보정된 사진기로 사진지표(fiducial mark)가 있음.
측량작업기관 (測量作業機關, organization of surveying operation)
측량법에 명시되어 있는 측량계획기관의 지시 또는 위임에 의하여 측량에 관한 작업을 실시하는 기관.
측량표 (測量標, survey markers)
측량을 실시한 현지의 점에 설치한 표지. 영구표지, 일시표지, 임시설치표지가 있음.
측량학 (測量學, surveying)
측량학은 지구 및 우주공간에 존재하는 제점간의 위치관계와 그 특성을 해석하는 학문으로서 위치결정, 도면화와 도형해석 및 면․체적 산정, 정보의 정량화, 생활공간의 개발과 유지관리, 경관의 정량적 해석을 통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의 창출에 기여하는 학문임.
측면경사 (側面傾斜, side slope)
성토와 절토로 인한 도로측면의 경사. 일반적으로 수평과 수직이 4:1의 비율이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함.
측면마찰 (側面摩擦, side friction)
주차, 노변활동, 장애물 등 차도를 이용하는 통행에 방해를 줄 수 있는 요소.
측면웨어 (側面 - , side weir)
수로에서 가로방향의 유출을 위해 수로의 측면에 설치한 웨어.
측면필렛용접 (測面 - 鎔接, fillet weld in parallel shear, side fillet weld)
용접선의 방향이, 전달하는 응력의 방향에 거의 평행한 필렛용접.
측방교선법 (側方交線法, method of side intersection)
교선법의 한 방법. 교선법에는 전방교선법, 측방교선법, 후방교선법 등이 있음.
측방여유 (側方餘裕, lateral clearance)
도로와 도로변의 물체들 사이의 거리.
측방유동 (側方流動, lateral flow)
측방유동 현상은 토압, 수압, 수평하중, 지반활동, 진동에 의한 수평방향 변위와 경사로 나눌 수 있음. 측방유동에 대한 측정 방법은 일반적으로 두 점간의 상대적 수평거리의 변화를 구하는 방법과 경사각을 측정하여 변위량으로 환산하는 방법으로 대별됨.
측벽도갱 (側壁導坑, side shaft)
터널의 굴착에 있어, 장래 라이닝의 측벽부가 되는 장소에 설치한 도갱.
측벽도갱선진공법 (側壁導坑先進工法, side wall drift excavation)
굴착 대상 지반이 매우 연약하여 붕괴할 우려가 있는 경우, 터널 단면 중앙의 흙을 남겨둔 채 먼저 터널 양쪽측면에서 순차적으로 도갱굴착과 콘크리트 타설을 반복 수행하여 복공을 완성한 후에 내공토사를 굴착하는 방법임. 굴착의 순서는 우선 양측의 측벽도갱을 선진시키고 다음에 측벽 콘크리트를 타설함. 다음에 아치링을 굴착하여 측벽 콘크리트를 토대로 하여 강아치지보공을 세우고 최후에 아치의 핵과 중심부분을 동시에 굴착하며 아치 콘크리트를 타설함.
측벽도갱 선진 상부 반단면 공법 (側壁導坑 先進 上部 半斷面 工法, side drift method)
산악 터널 굴착공법의 일종으로서 터널 측벽부에 도갱을 선진 굴착하여 측벽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부 반단면 굴착, 아치 콘크리트 타설, 지보공의 순서로 터널을 굴착하여 완성하는 공법.
측선 1) (側線, siding, side track)
철도에서 본선이외의 모든 선로.
측선 2) (測線, survey line)
측점과 측점을 연결한 선. 측선이 조합되면 측량망을 구성함.
측설 (測設, setting out)
설계도와 시방서에 따라 공사에 필요한 점의 위치와 높이(구배)를 정하는 시공측량.
측설운하 (側設運河, side canal)
하천에서 배의 운행이 곤란한 부분을 따라 설치한 운하.
측수로 (側水路, lateral canal)
유속이 빠르거나 혹은 기타의 이유로 주운이 적절하지 못한 하천에 어느 정도 평행하게 굴착한 수로.
측심 (測深, sounding)
로드에 붙인 저항체를 지중에 넣고 관입. 회전, 빼올리기 등의 저항으로부터 토층의 성상을 탐사하는 것으로, 흙속에 시험기를 정적으로 또는 동적으로 관측정하고 그 위치에서 토층의 상대적 밀도 또는 컨시스턴시를 추정하는 조사방법의 총칭.
측심계 (測深計, ① sounder ② bathymeter)
① 음파나 초음파를 바닥으로 쏘아 반사되는 파의 도달 시간을 기록하여 수심을 자동환산하는 계기. 주로 강이나 바다 또는 저수지의 수심 측정에 쓰임.
② → 수심계.
측심도 (測深圖, fathogram, sounding chart)
측심기에서 나온 신호를 기록한 기록지.
측심레드 (測深 - , sounding lead)
수심을 측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납추. → 측심추.
측심봉 (測深棒, sounding rod)
샛강이나 운하와 같이 비교적 얕은 물의 깊이를 재기 위해 한 쪽 끝을 납으로 무겁게 만든 눈금 막대기.
측심선 (測深線, lead / sounding line)
→ 측심줄.
측심작대 (測深 - , sounding pole / stick)
천해에서 수심을 측정하기 위해 쓰이는 장대로서, 보통 수심을 읽을 수 있도록 표시를 해 둠.
측심줄 (測深 - , sounding wire / line)
수심을 측정하기 위해 쓰이는 일종의 줄자. 측심선이라고도 함.
측심추 (測深錘, sounding weight / lead)
측심줄이 가라앉도록 측심줄의 끝에 매달아 놓은 무거운 물체. → 측심레드.
측압 (側壓, lateral pressure)
① 유체, 분체 또는 과립체등이 이와 접한 측면에 작용하는 압력.
② 압축 시험에서 압축실에 가해지는 액압.
측점조건 (測点條件, station condition)
측점에서 여러 방향을 관측하였을 경우에 수평각 상호간에 만족되어야 할 조건.
측지경도 (測地經度, geodetic longitude)
타원체면상의 한 점을 통과하는 자오면과 기준자오면(그리니치 천문대 부근)이 이루는 각거리.
측지기사 (測地技士, registered surveying engineer)
측량법에서 정한 측량기술자의 한 종류.
측지기술사 (測地技術士, professional engineer of land survey)
측량법에서 정한 측량기술자의 한 종류.
측지기준계 (測地基準系, geodetic reference system)
국제측지학 및 지구물리학연합(IUGG)총회에서 채택한 측지상수. 측지상수는 기하상수와 물리상수로 구성되며 등포텐셜타원체(수준타원체)의 개념에 근거한 GRS1967과 GRS1980이 있음. 약어 : GRS.
측지망 (測地網, geodetic network)
삼각점, 수준점, 중력점으로 구성된 망. 국가기준점망으로서 삼각점망, 수준(고저측량)망, 중력망 등이 있음.
측지선 (測地線, geodetic-line, geodesic)
지표상 두 점간의 최단거리선으로써 두 지점과 지점과 자삼을 포함하는 평면과 지표면의 교선, 즉 두 지점을 지나는 대원의 일부임.
측지원점 (測地原點, geodetic datum station / initial point)
측지망의 구성과 계산을 위하여 정의된 상수의 집합을 측지원자라고 하며 측지원자가 정의된 특정한 기준점을 측지원점이라고 함.
측지위도 (測地緯度, geodetic latitude)
타원체면에 수직인 선과 적도면과 이루는 각. 지심위도나 화성위도와는 구별됨. 지리위도라고도 함.
측지측량 (測地測量, geodetic surveying)
국가기준점인 삼각점, 수준점, 중력점 등에 관한 측량으로서 지구곡률을 고려하는 측량임. 우리나라에서는 국립지리원장이 실시하는 기본측량의 일부임. → 대지측량.
측지학 (測地學, geodesy)
지구의 형상, 크기, 운동, 특성(중력, 지자기) 및 측지위치를 정하는 과학의 한 분야. 물리측지학, 기하측지학, 위성측지학, 천문측지학 등의 분야가 있음.
측표 (測標, ① signal target ② floating mark)
① 삼각점 등의 측점으로부터 목표를 시준하기 위하여 설치한 시준목표. 보통측표와 간이측표가 있으며 측표 아래에 기계가 세워짐.
② → 부표.
층 (層, ① layer ② formation)
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패스(pass)의한 용착금속의 층.
② 지질도 작성 및 기재에 사용되는 기보적인 층서학적 단위.
층간박리 (層間剝離, lamella tearing)
→ 라멜러 테어링.
층따기 (層 - , bench cut)
높은 절취를 여러 단으로 나누어서 계단상으로 굴착하는것.
층류경계층 (層流境界層, laminar boundary layer)
평판을 스치는 흐름에서 형성되는 경계층 중에서 평판의 앞 끝 부분에 생기는 얇고 층류의 특성을 띄는 경계층.
층류저층 (層流底層, laminar sublayer)
점성저층의 옛말로 그 층속의 흐름이 엄격한 의미에서 층류라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적절한 용어가 아니며 지금은 쓰이지 않음.
층리 (層理, stratification)
수성암이나 충적토 등의 토층이 층상으로 쌓여 있는 것.
층리면 (層理面, bedding plane)
불연속면의 구조요소를 성인에 따라 구분할 때, 퇴적암의 단위퇴적 경계면을 말함.
층모멘트 (層 - , story moment)
다층 뼈대 구조물의 어떤 층에서의 층전단력과 그 층 높이의 곱.
층방정식 (層方程式, shear equation)
다층 뼈대구조에 있어서 어느 층의 정부를 절단했을 때 생기는 각 부재의 전단력의 합과 그 전단면보다 위에 있는 외력의 수평분력은 같아야 한다는 조건으로부터 얻어지는 방정식으로서, 가로흔들이가 있는 뼈대구조의 해석에서 평형조건식으로 사용.
층별침하계 (層別沈下計, settletment extensometer)
침하로 인한 각 지층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장비로서 지층별 탄성 및 압밀침하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상 구조물 주변지반의 수직 거동, 성토지반이나 기초지반의 침하, 융기 및 수직변형, 옹벽, 교각 및 교량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됨.
층상부식 (層狀腐蝕, exfoliation corrosion)
압연, 압출 등의 가공에 의해 생긴 층상의 조직을 따라 박리하는 것 같은 현상의 부식. 박리부식이라고도 함.
층상절리 (層狀節理, sheeting joint)
화강암에 잘 생겨나며 한층의 두께는 1m 내외인 것이 많음. 층상절리는 지면의 모양과 거의 평행하게 나타남이 특징.
층상토 (層狀土, stratified soils)
흙입자가 시간적 연속성을 두고 퇴적하여 층을 이룬 모양의 퇴적토.
층 전단력 (層剪斷力, story shearing force)
다층 뼈대구조에 있어서 어느 층의 정부를 절단했을 때 생기는 절단면에 있는 각 부재의 전단력의 합.
층화 임의 표본 추출 (層化 無作爲 標本 抽出, stratified random sampling)
모집단에 대한 사전지식을 갖고 있을 때 모집단을 동질적(homogeneous)인 몇 개의 층(strata)으로 나눈 뒤 각 층에서 어떤 규칙에 의해서 임의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치궤조식철도 (齒軌條式鐵道, abt system / toothed railway)
주행레일이외의 치형 또는 사다리형의 래크(rack) 레일을 부설하고, 동력차에 설치한 치차에 의해 급구배선을 운전하는 철도.
치기줄눈 ( - , dummy joint)
콘크리트 슬래브가 아직 굳지 않은 동안에 슬래브 상부에 홈을 파서 만든 줄눈.
치밀한 콘크리트 ( - , dense concrete)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수밀하게 만든 콘크리트.
치수선 ( - 線, dimension line)
제품, 구조물 등의 치수를 기입하는데 쓰이는 선.
치프 스프레더 ( - , chip spreader)
시일코오트 또는 머캐덤공법에서 쇄석이나 모래 등 칩(chip)을 노면에 살포하기 위한 기계.
치핑 ( - , chipping)
끌에 의한 경화 콘크리트 표면의 마무리 방법.
치핑해머 ( - , chipping hammer)
① 금속을 깍아내는데 사용하는 해머.
② 용접에서는 슬래그 해머같은 것을 말함.
치환 (置換, displacement)
어떤 물질이 다른 물질과 화학반응할 때 분자 속의 원자 또는 원자단을 다른 원자 또는 원자단으로 바꾸는 반응.
치환공법 (置換工法, replacement method)
연약지반 및 동상의 염려가 있는 지반의 지지력 및 내구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재래지반을 양질의 재료로 치환하는 공법.
치환기초 (置換基礎, displaced foundation)
기초지반을 개량하는 목적으로서 비교적 대량의 해저 연약토를 준설하여 그 후에 양질토사로 되메움한 기초, 터파기한 해저를 되메움하여 구조물 기초면이 안정된 지반과의 접속을 보전하기 위하여 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지력의 증가, 저면반력의 분산, 침하량의 감소 등의 점에서 효과가 있음.
친수성 골재 (親水性 骨材, hydrophilic aggregate)
아스팔트보다도 물에 대한 친화성이 더 큰 골재. 아스팔트로 일단 피복하여도 수중에 담그면 아스팔트 피막은 벗겨지기 쉬움. 견경하고 표면의 결이 치밀한 골재에 많음.
친수콜로이드 (親水 - , hydrophilic colloid)
물과 친화성을 가져서 물분자를 주위로 끌어들여 수화층을 가지는 경향이 있는 콜로이드. 소수(疎水) 콜로이드에 비해 점도(粘度)가 높으며, 전해질에 의해서도 응결하기 힘들고 안정성이 있음. 전분, 젤라틴, 한천 등이 여기에 속함.
친자갈 ( - , screened ballast)
하천자갈 또는 산자갈을 체가름하여 소정의 입도로 한 것.
침강 (沈降, settling)
액체 속에 있는 고형물이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작용에 의해 밑바닥으로 가라앉는 현상.
침강속도 (沈降速度, fall velocity, settling velocity)
정지상태의 무한유체 속을 하나의 입자가 낙하할 때, 중력과 저항이 평형을 이루는 낙하속도. 일반적으로는 종속도를 의미함.
침강 해안 (沈降 海岸, coast / shoreline of submergence)
지반의 침강 또는 해면의 상승에 의하여 형성된 지형의 해안.
침루 (浸漏, percolation)
침투가 된 뒤 흙 속에서 물이 아래 쪽으로 이동하는 것. 일반적으로 그 양은 겨울에 가장 많고 여름에는 거의 없음.
침루계 (浸漏計, percolation gauge)
침루량을 정하는 계기로서, 벽돌이나 콘크리트로 둘러싸인 사각 또는 원통형 흙의 바닥에 강우에 의한 물을 모을 수 있게 만든 것.
침루손실 (浸漏損失, percolation loss)
지표면에 도달한 강수 또는 저수지에서 흙속에 침투되어 땅속으로 이동하여 지하수로 되는 손실량을 말하며, 손실량은 지질조건에 따라 다르고 정확한 침루손실량을 측정하기가 어려움.
침매공법 (沈埋工法, submerged tunnel / immersed tube method)
터널의 일부 또는 전부를 미리 제작하여 이것을 물에 띄워서 소정의 장소까지 인양하여 계획위치에 침설하여 터널을 건설하는 공법을 말함.
침매식공법 (沈埋式工法, trench method)
하저 또는 해저에 미리 터널에 맞게 도랑을 판 후 이미 만들어진 터널에 뚜껑을 덮어 가라앉혀 순차로 수중에서 연결된 터널을 구축하는 공법.
침목 (枕木, sleeper)
레일을 지지하고, 궤간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레일으로부터의 하중을 도상 등에 분포시키는 역할을 하는 궤도 재료의 하나임.
침목간격 (枕木間隔, spacing of sleeper, tie spacing)
레일과 견고한 체결에 적합하고 열차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침목을 배치시키는 간격.
침목간격재 (枕木間隔材, guard timber)
→ 침목계재.
침목계재 (枕木繫材, guard timber)
교량 침목에 있어서 훅크 볼트만으로서는 고정되기 어려우므로 침목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침목양단에 설치하는 목재, 철판, 앵글, 중고레일 등의 용재.
침목부식 (枕木腐蝕, corrosion of tie)
목침목이나 철침목의 부식.
침목증설 (枕木增設, tie addition)
부설되어 있는 침목사이에 부가하여 침목을 더 부설하는 것.
침목충해 (枕木蟲害, insect pests tie)
목침목이 벌레에 의하여 입는 피해.
침목할열 (枕木割裂, crack of tie)
목침목이 건조수축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 갈라진 현상.
침사지 (沈砂池, ① grit chamber ② sand basin)
① 일반적으로 물을 처리하기 전에 토사의 침적, 펌프의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중에 포함된 토사를 침전법에 의해 제거하는 시설.
② 흐르는 물의 유속을 늦추어 그 속의 부유토사를 침전시키기 위해 취수구 가까이 만든 인공못.
침수 (浸水, inundation)
물이 평지 등으로 점차 스며 들어가는 상태.
침수건조 (沈水乾燥, water seasoning)
목재건조법의 일종으로 우선 목재를 물에 담구어 목재의 수액을 뺀 다음 공기 중에서 건조시키는 것.
침수지역 (浸水地域, flooded, inundated area)
하천유량이 수로의 소통능력을 초과하거나 하류에 둑을 막음으로서 물에 의해 침수된 구역.
침수팽창시험 (浸水膨脹試驗, swelling test)
토질에서 건조된 흙의 팽창성(팽윤성)에 관한 시험. 특히, 건조한 점토에 물을 가하면 점토는 팽창해서 원 체적의 수배가 증가됨.
침식 (沈蝕, erosion)
침식에는 주로 풍화된 암석이 빗물, 유수, 바람, 눈, 빙하 등의 외력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깍이는 작용 및 빗물이나 지하수가 암석을 화학적으로 용해시키는 작용이 있음.
침엽수 (針葉樹, needle leaved tree)
과자식물 중의 핵 송류에 속하는 수목. 연재로서 알려졌고 일반적으로 곧은 성질이 있으므로 대재를 얻을 수 있음.
침윤 (浸潤, seepage)
흙이나 돌로 이루어진 하천의 제방이나 저수지를 통해 일반적으로 스며나오는 침루. 흙이나 암석 덩어리를 느리게 통과하는 물의 경로. 침윤은 재료의 성질, 그것의 조건과 위치 그리고 다른 요소에 의해 변함.
침윤면 (浸潤面, seepage face)
침윤하는 물의 표면.
침윤선 (浸潤線, saturation line, line of saturation, seepage line)
흙댐, 제방 그리고 하층토를 통과하여 스며드는 물의 상한을 나타내는 선으로 유선망을 그릴 때 최상단 경계의 유선에 해당됨.
침윤속도 (浸潤速度, seepage velocity)
침윤하는 물의 속도. 여기서 는 침유속도, 는 Darcy식에 의한 속도이고 는 간극률임. 침투속도라고도 함.
침윤손실 (浸潤損失, seepage loss)
하천이나 운하 또는 저수지에서 침윤에 의해 빠져나가는 물의 양.
침윤수압 (浸潤水壓, seepage pressure)
침윤하는 물이 흙입자에 끼치는 압력. 침투압력이라고도 함.
침입도 (針入度, penetration)
아스팔트의 경도를 나타내는 수치. 규정된 온도, 하중, 시간에 규정된 침이 재료속에 수직으로 관입된 깊이를 표시하고 단위는 0.1 mm임. 시험치의 표준 조건은 온도 25 ℃, 침과 가동봉의 무게 100 g, 침입시간 5초임.
침입도 지수 (針入度 指數, penetration index)
침입도와 연화점에 의해서 다음 식으로 구해지는 아스팔트의 감온성에 관계되는 특성치.
침전 (沈澱, settling)
→ 침강.
침전성고형물 (沈澱性固形物, settlable solid)
수처리에서는 임호프콘에서 60분안에 콘의 바닥에 침전되는 고형물.
침전속도 (沈澱速度, fall velocity)
→ 침강속도.
침전지 (沈澱池, sedimentation basin)
정수장이나 하수 처리장 등에 설치하여 물보다 밀도가 큰 물체(입자 등)를 침전시키는 시설을 말함. 형상은 장방형, 정사각형, 원형 등이 있고, 흐름의 방향에 따라 평행류, 방사류, 상승류 등으로 구분함.
침출 (浸出, leaching)
물에 의하여 토양이나 기타 물질로부터 용해성물질이 빠져나오는 것. 이 때 생기는 용액을 침출수라고 함.
침출률 (浸出率, seepage yield)
포화대수층의 단위용적에서 침출되는 물의 용적백분율.
침출면 (浸出面, seepage-out surface)
댐이나 하천제방 등에서 침투수가 이동하여 배출되는 면.
침출수 (浸出水, leachate)
용해성물질이 빗물 등에 의하여 지하로 침출하는 용액. 투수성의 토양이나 암반에서는 쓰레기의 매립에 따른 용해성 물질로 인해 지하수가 오염될 수 있음.
침탄 (浸炭, carbonizing)
강의 표면층의 탄소량을 증가시켜, 경도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침탄제중에서 가열처리하는 조작. 침탄제의 종류에 의해 고체침탄, 액체침탄, 가스침탄으로 나눔. 표면열처리라고도 함.
침투 (浸透, ① infiltration ② seepage)
① 흙 또는 다른 덩어리의 공극이나 틈을 통과하거나 그 곳으로 느리게 물이 이동하는 것. 흙에 의한 물의 흡수를 말하기도 하며, 그 양은 침투계로 결정할 수 있음.
② 흙은 간극이 연결된 유공물질이므로 액체가 압력 또는 위치의 차에 의하여 공극중을 투과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액체가 흙속을 투과하는 현상을 말함.
침투계 (浸透計, infiltrometer)
침투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기. 이 때 물은 스프링클러 따위를 써서 인위적으로 침투시키게 됨.
침투력 (浸透力, seepage force)
토립자가 받는 침투 방향의 힘을 말함.
침투류 (浸透流, seepage flow)
흙 또는 암반중의 물이 운동하는 형태로서, 급수원으로 부터 흐름의 말단까지 연결된 상태를 말함. 침투류의 형성 원인으로는 중력, 모관현상, 온도의 차, 전기력을 말함.
침투속도 (浸透速度, seepage velocity)
→ 침윤속도
침투식 공법 (浸透式 工法, asphalt penetration macadam)
골재를 부설하여 전압과 역청재료의 살포 침투를 반복하여 기층 또는 표층을 만드는 공법. 상온 침투공법과 가열 침투공법이 있음.
침투압력 (浸透壓力, seepage pressure)
→ 침윤수압
침투용 아스팔트 유제 (浸透用 - 乳劑, asphalt emulsion for penetration)
아스팔트의 미립자를 유화제, 안정제 또는 물로 된 수용액 중에 분산시켜 액상으로 만든 재료로 아스팔트의 침투식 머캐덤공법에 이용됨.
침투탐상시험 (浸透探傷試驗, penetrating test, liquid penetrant testing)
표면에 갈라진 미소한 구열, 작은 구멍 등을 검출하는 시험법. 침투액을 침투시킨 후에 표면을 씻고, 현상액을 사용하면, 홈사이의 침투액이 흡입되어, 표면에 출현됨. 염료침투와 광침투가 있음.
침투파괴 (浸透破壞, seepage failure)
댐이나 하천제방에서 침투수에 의한 침투압으로 발생되는 구조물의 파괴.
침하 (沈下, settlement)
하중에 의한 지반의 변형을 침하라 하며 일반적으로 침하의 원인은 토립자형태의 변화와 체적의 변화임. 침하는 즉시침하, 1차압밀침하와 2차압밀침하로 나눔.
침하균열 (沈下龜裂, settlement cracking)
지반․성토 등이 하중을 받아 하향으로 변위를 일으켜 균열이 생기는 것.
침하도 (沈下度, consolidation factor)
지반·성토·구조물·말뚝 등이 하중을 받아 아래 방향으로 변위하는 정도.
칩 ( - , chips)
쇄석을 체가름하여 생산한 골재중(KS F 2524) 8호 골재(10 mm~2.5 mm) 및 89호 골재(10 mm~1.2 mm). 이들은 머캐덤 포장이 끝마무리에 사용됨.
토목전공 용어사전 "ㅎ" (0) | 2018.09.09 |
---|---|
토목전공 용어사전 "ㅍ" (0) | 2018.09.09 |
토목전공 용어사전 "ㅌ" (0) | 2018.09.09 |
토목전공 용어사전 "ㅋ" (0) | 2018.09.09 |
토목전공 용어사전 "ㅈ" (0) | 2018.09.09 |
토목전공 용어사전 "ㅇ" (0) | 2018.09.09 |
토목전공 용어사전 "ㅅ" (0) | 2018.09.09 |
토목전공 용어사전 "ㅂ" (0) | 2018.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