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양의 조경양식 ]
1. 삼국시대
1) 고구려
* 대표적 정원 → 안학궁, 장안성
* 정원을 관장하던 부서 → 고려시대 : 내원서, 이조시대 : 장원서
* 대성산성 → 장수왕 때
2) 백 제
* 대표적 정원 → 무왕 35년(634년)/ 궁남지,
노자공(6세기 중엽) → 백제인으로 일본으로 건너가 수미산과 오교로 이루어진 정원
* 동성왕 22년(AD500년)/ 임류각
3) 신라 및 통일신라
* 대표적 정원 → 문무왕 14년 2월(674년)/ 안압지
직선처리와 복잡 다양한 곡선처리, 3개의 섬, 거북 형태, 못의 관,배수 시설
2. 고려시대
- 대표적 정원 → 경종(977년)/ 동지(백제의 궁남지, 신라의 안압지와 유사한 기능), 문수원
3. 조선시대
- 대표적 정원형태 → 궁원, 민가정원, 별서정원
# 경복궁 → 기하학적 형태의 정원, 연못(섬이 있는 방지형태), 아미산, 경회루, 향원지
# 창덕궁 → 동궐, 후원을 금원, 비원이라 부름
경복궁과 달리 후원의 자연지형 이용, 부용정 부용지
◎ 주택정원 :
(ㄱ) 민가정원 → 궁궐과 비교할 때 화려함이나 규모면에서는 뒤지나 방지(方池).
경사면의 계단식 등 소박하고 친근한 분위기 속에 마당을 중심으로 건물 또는
담장으로 둘러싸인 행낭마당, 사랑마당, 안마당으로 구성되었다.
(ㄴ) 별서(別墅)정원 : 나무를 거의 심지 않고 가족행사, 농사에도 사용하였으며 사대부가
본가와 떨어진 초야에 집을 지어 별장과 같은 성격을 가졌다.
①소쇄원 : ㉠전남 담양군에 소재
㉡양산보라는 사람이 지음
㉢자연계류의 비탈면을 깎아 자연석으로 단과 담을 쌓아 자연식에 정형식을
가미하였다.
②다산초당 : ㉠정약용의 별당
㉡바닷가 괴석을 방지 안에 설치하여 석가산 구성
㉢용천에서 물을 끌어 비폭(飛瀑)
③부용동 원림 : ㉠윤선도의 소유
㉡내침인 낙선재
㉢동천석실(암벽위에 소옥 짓고 암벽 밑에 석실 축조)
④옥호 정원 : ㉠김조수의 별장
㉡삼청동 계곡 비탈면에 口字형 주거 중심으로 한 계단 후원식
풍경식 : 자연과 인공미 혼용 기하학적 부위에 바닥 포장 기괴한 모 양의 괴석 사용
* 한국정원의 특징
- 사상 → 신선사상 : 백제의 궁남지, 신라의 안압지
- 지형 → 직선적인 윤곽의 처리, 정원의 연못의 형태와 구성이 단조로움 / 직선적인 방지
# 주정원은 후원(뒷뜰)이고, 낙엽활엽수를 많이 씀
# 십장생 → 소나무, 거북, 학, 사슴, 불로초, 해, 산, 물, 바위, 구름,
4. 중국 정원의 특징
①경관의 조화보다는 대비를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②자연과 인공미를 혼용 기하학적 부위에 기괴한 모양의 괴석을 사용
③태호석을 이용 석가산수법(화석강)
④한시대의 상림월 : 수백㎞, 3000여종의 화목, 황제의 수렵장으로도 사용
⑤청시대의 원명원 : 프랑스식 정원, 현존하지 아니함.
⑥만수산 이궁 : 현존 제1의 궁원 90만평
5. 일본 정원의 특징
① 돌과 모래의 정원
② 물과 계류를 이용한 정원
③ 나무와 이끼를 이용한 정원
◎ 노자공임천식 14c
축산고산수법 (나무:산봉우리, 바위:폭포, 왕모래:냇물) 15c
평정고산수법 : 왕모래와 바위 몇 개만 쓰고 식물 배제 16c
다정양식 :징검돌, 자갈, 세수통, 석등 19c
: 회유식 정원 (임천양식과 다정양식의 결합)
조경기능사 필기요점정리 9강. 식물 재료 (0) | 2020.11.20 |
---|---|
조경기능사 필기요점정리 8강. 조경 재료 (0) | 2020.11.19 |
조경기능사 필기요점정리 7강. 조경 계획 및 설계 (0) | 2020.11.18 |
조경기능사 필기요점정리 6강. 제도의 기초 (0) | 2020.11.17 |
조경기능사 필기요점정리 5강. 경관구성의 요소 (0) | 2020.11.16 |
조경기능사 필기요점정리 4강. 서양의 조경양식 (0) | 2020.11.15 |
조경기능사 필기요점정리 2강. 조경의 양식론 (0) | 2020.11.13 |
조경기능사 필기요점정리 1강. 조경의개념 (0) | 2020.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