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운영 체제의 성능 평가 기준(운영체제의 목적)
① 처리 능력(Throughput) ② 응답 시간(Turnaround Time)
③ 신뢰도(Reliability) ④ 사용 가능도(availability)
2. 운영체제의 구성
① 제어 프로그램 - 감시, 데이터 관리, 작업 관리 프로그램
② 처리 프로그램 - 언어 번역, 서비스, 문제 처리 프로그램
3. 운영체제의 발전과 종류
종 류 |
개 념 |
일괄처리 시스템 (Batch processing) |
일정 기간 이나 일정량을 모아 두었다가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오프라인 처리) |
다중프로그래밍 시스템 (Multi-programming) |
여러 개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기억장치에 적재되고 이것을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 |
실시간 시스템 (Real time processing) |
데이터가 발생하는 즉시 처리하여 결과를 얻는 방식(온라인처리) |
시분할 시스템 (Time sharing system) TSS |
시간을 분할하여 여러 사용자에게 제어권을 순환 할당시키면서 한 대의 컴퓨터를 여러명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다중사용자 시스템 |
다중처리 시스템 (Multi-processing system) |
CPU를 두 개 이상 두고 각각 그 업무를 완전히 병렬적으로 동시 수행이 가능한 방식 |
분산처리 시스템 (Distributed processing) |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각 시스템의 여러 기능을 공유하며 상호작용과 공동연산의 장점을 살려서 효율을 극대화시킨 운영 방식 |
4. 프로세스(process) :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
① 준비(ready) 상태 : CPU를 할당받기 위해 기다리는 상태
② 실행(running) 상태 : 현재 실행 중인 상태
③ 대기, 보류(block) 상태 : 입출력(I/O) 처리나 어떤 사건이 일어나길 기다리는 상태(보류)
5. 운영체제의 용어
․교착상태(Dead lock) : 어떤 프로세스가 사용할 수 없는 자원을 계속 요청함으로 인해 결국 해당 프로세스의 진행이 중단된 상태
필요충분조건 : 상호배제, 점유와 대기, 비선점, 순환대기
․오버레이(Overlay) : 크기가 큰 프로그램을 분할하여, 분할된 프로그램을 필요에 따라 주기억 장치에 적재하여 사용하는 방식
․스와핑(Swapping) : 가상 기억장치에서 주기억 장치와 보조 기억장치 간의 데이터의 교환 작업
․스풀(Spool) : 고속의 중앙 처리 장치와 저속의 출력장치 사이에서 일어나는 속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
6. DOS의 시스템 파일
: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기동(부팅)시키고 모든 자원(H/W와 S/W)을 관리, 제어해주는 파일
① IO.SYS : MSDOS.SYS의 요청에 따라 실제로 입출력(I/0)을 담당
② MSDOS.SYS : 파일의 입출력 관리, 시스템 호출 등을 담당
③ COMMAND.COM :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해석하고 처리(명령어 처리기, 내부 명령어 포함)
7. DOS의 환경 설정 파일
환경 설정 파일 |
기 능 |
CONFIG.SYS |
DOS가 처음 기동될 때 DOS가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의 작업환경(장치)을 설정해 주는 파일 |
AUTOEXEC.BAT |
DOS가 기동 시 필요한 일련의 처리 명령이나 환경 설정 등을 일괄적으로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파일 |
8. 부팅(Booting)
① 순서 : IO.SYS → MSDOS.SYS → CONFIG.SYS → COMMAND.COM → AUTOEXEC.BAT
② 부팅(Booting)의 종류
콜드 부팅(Cold Booting) |
전원(Power)을 켠다. Reset키를 누름 |
웜 부팅(Warm Booting) |
[Ctrl] + [Alt] + [Del.]키를 누름 |
9. 내부 명령어 정리
분 류 |
명 령 어 |
기 능 |
파일 관련 |
DIR |
파일 목록 표시 |
COPY |
파일 복사 |
|
DEL(ERASE) |
파일 삭제 |
|
REN(RENAME) |
파일명 변경 |
|
TYPE |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화면 표시 |
|
디렉토리 관련 |
CD(CHDIR) |
디렉토리 변경(이동) |
MD(MKDIR) |
디렉토리 생성 |
|
RD(RMDIR) |
디렉토리 삭제 |
|
PATH |
경로 설정 및 해제 |
|
시스템 관련 |
PROMPT |
프롬프트 설정 변경 |
DATE |
날짜 설정 |
|
TIME |
시간 설정 |
|
CLS |
화면을 깨끗이 지움 |
|
VER |
OS 버전 표시 |
|
디스크 관련 |
VOL |
디스크의 볼륨 레이블 표시 |
10. 외부 명령어 정리
분 류 |
명 령 어 |
기 능 |
파일 관련 |
XCOPY |
파일 및 디렉토리 전체 복사 |
UNDELETE |
삭제된 파일 복구 |
|
ATTRIB |
파일의 속성 설정 및 해제 |
|
디스크 관련 |
CHKDSK |
디스크의 상태 검사 및 표시 |
DISKCOPY |
플로피 디스크 복사 |
|
FORMAT |
디스크 초기화(포맷) |
|
UNFORMAT |
포맷한 디스크 복구 |
|
LABEL |
디스크 볼륨명 지정 |
|
BACKUP |
디스크 내용 백업 |
|
RESTORE |
백업한 내용 복구 |
|
FDISK |
하드 디스크 분할 및 관리 |
|
디렉토리 관련 |
TREE |
디렉토리 구조 표시 |
DELTREE |
디렉토리(하위까지) 단위 삭제 |
|
시스템 관련 |
SYS |
DOS 시스템 파일 복사 |
11. 메모리 관리
도스의 연장 메모리 관리자 : HIMEM.SYS
도스의 확장 메모리 관리자 : EMM386.EXE
도스의 가상 드라이브 관리자 : RAMDRIVE.SYS
12. 윈도우 95의 특징 및 향상된 기능
ⓛ GUI(Graphic User Interface)
② 32bit 선점형 멀티태스킹(32bit Preemptive Multi-tasking)
: OS가 필요에 따라 자원의 사용권을 빼앗을 수 있는 방식(선점형), 동시에 여러 작업 가능(멀티태스킹)
③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 PnP : 자동 감지 설정 기능)
④ 255자의 파일명(공백 포함)
⑤ 네트워크 및 멀티미디어 기능 향상
13. 윈도우 설치 :표준설치, 휴대용 설치(휴대용 컴퓨터에 적합), 최소 설치(하드 디스크의 용량 부족시), 사용자 설치(필요한 구성요소만 설치)
14. 휴지통(Recycled)
: 삭제된 파일이 버려져 임시로 보관되는 장소
․휴지통에 버려진 파일은 다시 복원 가능
․휴지통 속의 파일은 휴지통 비우기로 영구 삭제
․플로피 드라이브(A:, B:)나 DOS창에서 삭제한 파일은 휴지통을 경유하지 않고 삭제
15. 내 컴퓨터 : 시스템에 설치된 하드웨어의 정보를 가진 곳으로 드라이브와 폴더를 관리, 제어한다.
16. 내 서류가방 : 최신의 데이터를 유지해야 하는 작업을 두 대의 컴퓨터로 수행할 때 두 컴퓨터간의 문서를 비교하여 항상 최신의 데이터를 유지시켜 준다.
17. 바로가기(단축) 아이콘 : 응용 프로그램의 경로 기억, 아이콘을 지워도 해당 프로그램은 지워지지 않는다, *.LNK
18. 시작 메뉴 구성
메 뉴 |
기 능 |
프로그램(P) |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의 목록을 표시 |
문서(D) |
가장 최근에 작업한 15개의 문서 목록 표시 |
설정(S) |
시스템의 설정 변경 기능 제어판, 프린터, 작업표시줄 등으로 구성 |
찾기(F) |
찾고자 하는 파일이나 폴더를 쉽게 검색 |
도움말(H) |
도움말 열람(색인․목차)(F1) |
실행(R) |
프로그램의 이름을 직접 입력해 실행 |
시스템 종료(U) |
시스템의 종료 및 재시작(Alt + F4) |
19. 제어판 구성
종 류 |
기 능 |
프로그램 추가/제거 |
① 새 프로그램 설치 및 제거 ② Windows의 프로그램 구성 요소를 설치 및 삭제 ③ 시동(부팅) 디스크 작성 |
새 하드웨어 추가 |
플러그 앤 플레이(PnP)가 지원되지 않는 새 하드웨어를 설치 |
디스플레이 |
화면과 관련된 설정을 변경(배경화면, 화면 보호기, 화면배색, 해상도, 모니터 드라이버 등) |
시스템 |
① 현재의 시스템 성능과 정보 확인 가능 ② 시스템 성능 설정 변경(파일 시스템, 그래픽, 가상 메모리) |
네트워크 |
① 네트워크 연결 설정 ② 파일 및 프린터의 공유 설정 |
프린터 |
프린터 추가 및 제거, 인쇄 작업의 제어도 가능 |
마우스 |
단추 설정, 포인터의 종류, 클릭 속도, 포인터 자취 등 |
20. 자주 사용되는 단축키 정리
[Alt] + [Tab] |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들 중 작업 전환 |
[Alt] + [Esc] |
실행 중인 창들을 순서대로 작업 전환 |
[Alt] + [F4] |
①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 종료 ②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 있지 않을 때 시스템 종료 |
[Alt] + [Ctrl] + [Del.] |
① 한번 누르기 : 프로그램 강제 종료 ② 한번 더 누르기 : 시스템 재부팅 |
[Ctrl] + [Esc] |
시작 메뉴 |
[Shift] + [F10] |
단축 메뉴 호출 |
[Alt] + [Enter] |
① 등록 정보를 호출 ② 창의 전체 화면 모드와 이전 크기 모드를 전환 |
[F1] |
도움말 호출 |
[F2] |
이름 바꾸기 |
[F3] |
파일 및 폴더 찾기 |
[Shift] + [Delete] |
선택된 개체를 휴지통에 버리지 않고 곧바로 영구 삭제 |
[Ctrl] + [A] |
전체 선택 (All) |
[Ctrl] + [C] |
선택한 내용을 클립보드로 복사 (Copy) |
[Ctrl] + [V] |
클립보드로부터 붙여넣기 |
[Ctrl] + [X] |
선택한 내용을 클립보드로 잘라내기 ( X가 가위 모양 ) |
[Ctrl] + [Z] |
직전 실행 명령 취소 |
[Alt] + [PrintScreen] |
활성창의 화면만 클립보드에 복사 cf) [PrintScreen◎? : Alt 키 생략시 윈도우 전체 화면을 클립보드에 복사 |
21. 마우스와 같이 사용되는 기능키
종 류 |
기 능 |
[Ctrl]키를 누른 상태에서 파일이나 개체를 이동 |
복사 또는 단축아이콘 만들기 |
[Ctrl]키를 누른 상태에서 파일을 선택 |
비연속적으로 떨어진 파일 선택 |
첫 파일 선택 후 일정한 범위의 마지막 파일을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클릭 |
연속적으로 모여 있는 파일 선택 |
22. 클립보드
: 복사나 잘라내기 등을 실행할 때 그 선택된 개체의 데이터가 임시로 기억되는 곳
23. 유닉스의 특징
대화식 시스템,multi-user system,multi-tasking system
CUI 환경, 높은 이식성과 확장성(호환성) - 90% 이상이 C언어
계층적 파일 시스템(트리 구조), 가상 메모리 시스템
파일 접근 제어(사용 권한), 유틸리티, 병행 처리(분산처리) 등
24. 유닉스 시스템의 구성
구 성 |
역 할 |
특 징 |
Kernel(커널) |
유닉스 시스템의 핵심 |
시스템 자원들(프로세서, 메모리, 파일, 프로세스, 주변장치 등)을 관리 |
Shell(쉘) |
명령어 해석기 =COMMAND.COM |
․시스템과 사용자간의 중간 매개 역할 ․자체 프로그래밍 언어 기능 |
Utility Program (유틸리티) |
사용자 편의 제공 |
․문서 편집기(vi, ed 등) ․언어 번역기(C 언어, 기타 등) ․전자우편, 기타 프로그램 등 |
25. 유닉스 핵심 명령어
명령어 |
기 능 |
ls |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목록 표시(list) |
cat |
텍스트 파일 내용 화면 출력 |
cp |
파일 복사(copy) |
mv |
파일 이름 변경(move, rename) |
rm |
파일 삭제(remove) |
pwd |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 표시(print working directory) |
cd |
디렉토리 이동 |
mkdir |
디렉토리 생성 |
rmdir |
디렉토리 삭제 |
more |
파일 내용을 한 페이지(화면)씩 출력 |
chmod |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사용 권한 속성 변경(change mode) |
응시자격서류 관련 서식 (0) | 2022.04.29 |
---|---|
지도제작기능사 실기시험 변경 안내 (0) | 2022.04.29 |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요점정리 - 전자계산기일반 (0) | 2021.04.16 |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요점정리 - 정보통신일반 (0) | 2021.04.16 |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요점정리 - Package(패키지)활용 (0) | 2021.04.16 |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필기 요점정리 (0) | 2021.04.02 |
텔레마케팅관리사 요점정리 (0) | 2021.04.01 |
전기공사기사 단답 정리 (0) | 2021.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