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칠의 원료
용제 |
① 도막구성 요소를 녹여서 유동성을 갖게 만드는 것 ② 건성유(아마인유, 동유, 임유, 마실유)와 반건성유(대두유, 채종유, 어유) |
건조제 |
① 건조를 촉진시키는 것 ② 연, 망간, 코발트의 수지산, 지방산 염류, 연단, 초산염, 이산화망간, 수산화망간 |
희석제 (신전제) |
① 도료 자체를 희석, 솔질이 잘 되게 하고 적당한 휘발, 건조숙도 유지 ② 휘발유, 석유, 테레핀유, 벤젠, 알콜, 아세톤 |
수지 |
천연수지(레진, 셀락, 코팔 등)와 합성수지가 사용 |
안료 |
유체안류(착색 목적), 체질안료(피복에 은폐력 부여) |
착색제 |
① 바니스스테인, 수성스테인 : 작업성 우수, 색상 선명, 건조가 늦다. ② 알콜스테인 : 퍼짐이 우수, 건조가 빠르다. ③ 유성스테인 : 작업성 우수, 건조가 빠르고 얼룩이 생길 우려 |
가소제 |
도료의 영구적 탄성, 표착성, 가소성 부여 |
2. 뿜칠 및 도장 요령
뿜칠 요령 (Spray gun) |
① 도료가 되면 칠오름이 거칠어지고, 묽으면 칠오름이 나빠진다. ② 1/3-1/2 정도 겹쳐질한다. 칠면과의 뿜칠거리 : 30cm ③ 운행 방향은 1회, 2회는 직각으로 한다. ④ Gun은 연속적으로 운행, 평행운행 ⑤ Gun의 속도가 느리면 칠이 흐르게 되고, 빠르면 드물어진다. ⑥ 뿜칠 압력이 낮으면 거칠고, 높으면 칠 손실이 많다. |
도장요령 |
① 칠막은 얇게 여러번 도포하며, 서서히 충분하게 건조시킨다. ② 칠 회수를 구분하기 위해 색을 다르게 칠한다. ③ 솔질은 위에서 밑으로, 왼편에서 오른편으로, 재의 길이방향으로 한다. ④ 칠의 중지 : 바람이 강할 때, 온도 5℃이하, 35℃이상, 습도 80%이상시 |
3. 콘크리트의 바탕면 처리
① 건조 → 오염부착물 → 구멍땜질(석고) → 연마지 닦기
② 28일이상(20℃기준)건조 [함수율 6%미만], 알칼리 PH9.5이하 상태
③ 유성페인트는 6개월 이상 방치후 도장(합성수지 페인트는 2개월 후)
④ 특수 도장면은 5% 염산용액으로 씻고 물 세척후 중화제를 도포 후 도장한다.
4. 페인트의 종류와 특징
|
성분 |
특징 |
유성페인트 |
안료+건성유+건조제+ 희석제 |
① 내후성, 내마모성이 좋고 건조가 늦고 내약품성이 떨어진다. ② 건물의 내외부에 널리 쓰인다. |
수성페인트 |
안료+아교 또는 전분+물 |
① 취급간편, 작업성이 좋고 내알칼리성이다. ② 내구성과 내수성이 떨어지며, 무광택이다. ③ 회반죽, 몰탈, 텍스 등 내부에 사용 |
에나멜 페인트 |
안료+유성바니쉬 (+건조제) [유성페인트와 유성바니쉬의 중간] |
① 유성에나멜과 합성수지에나멜(락카에나멜)이 있다. ② 내후성, 내수성, 내열성, 내약품성이 우수 ③ 외부용은 경도가 크다. |
에멀젼 페인트 |
수성페인트+합성수지+ 유화제 |
① 수성과 유성페인트의 특질을 겸비한 것 ② 수성페인트의 일종으로, 발수성이 있다. ③ 내외부 도장에 이용 |
5. 바니쉬의 종류와 특징
유성바니쉬 |
① 건조가 더디며, 무색(담갈색)의 투명도료 ② 유성페인트보다 내후성이 작아서 옥외에는 사용 안하며, 목재 내부용 |
|
휘발성 바니쉬 |
클리어락카 |
① 목재면의 투명 도장, 우아한 광택 ② 건조가 매우 빨라서 뿜칠로 한다. ③ 내후성이 작아서 보통 내부에 사용 |
에나멜락카 |
연마성이 특히 좋고 외부용은 자동차 외장용으로 사용(내후성보강) |
6. 도장균열의 원인 및 도료의 보관
도장균열의 원인 |
도료의 보관 |
① 건조제를 과다 사용할 때 ② 초벌 건조가 불충분할 때 ③ 배합이 부적절할 때 ④ 안료에 유성분(油性分)의 비율이 적을 때 ⑤ 초벌이 약하고, 재벌 피막이 강할 때 ⑥ 금속면에 탄력성이 적은 도료를 사용할 때 |
① 독립된 단층, 채광창 금지 ② 주위 건물과 1.5m이상 이격 ③ 천장설치 금지, 화기엄금 표지부착 ④ 환기 잘되고 직사광선 피한다. 소방기구 설치 ⑤ 도료 보관시 밑봉, 바닥은 내화재료 사용 |
7. 녹막이칠(방청도료)
광명단 |
① 단단한 도막을 만들어 수분통과를 방지한다. ② 알칼리성으로, 주로 철재에 사용 |
방청 산화철도료 |
내구성이 좋아 널리 사용되는 것 |
징크로메이트 도료 |
① 크롬산아연 + 알키드수지, 녹막이 효과가 좋다. ② 알루미늄판의 초벌용으로 적당 |
알루미늄도료 |
방청효과 이외에 광선, 열반사 효과, 알루미늄 분말을 안료로 함 |
역청질 도료 |
일시적인 방청효과 기대 |
규산염 도료 |
내수성 약함, 실내사용, 내화도료로 사용 |
연시안아미드 도료 |
녹막이 효과, 주철제품의 녹막이칠에 사용 |
이온교환수지 도료 |
전자제품, 철재면 녹막이도료로 사용 |
그라파이트 도료 |
정벌칠에 쓰이나 자체는 녹막이효과가 있다. |
8. 도장면적의 개산
종류 |
도장면적 |
|
목재면 |
미서기창(양면칠) 오르내리창(양면칠) 유리양판문(양면칠) 플러쉬문(양면칠) 양판문(양면칠) |
(안목면적)×(1.1-1.7) (안목면적)×(2.5-3.0) (안목면적)×(2.5-3.0) (안목면적)×(2.7-3.0) (안목면적)×(3.0-4.0) |
철제면 |
새시(양면칠) 철문(양면칠) 셔터(양면칠) |
(안목면적)×(1.6-2.0) (안목면적)×(2.4-2.6) (안목면적)×2.6 |
파이프 난간(양면칠) 철격자(양면칠) 비늘판 기와가락잇기(외쪽면) 큰골 함석지붕(외쪽면) 작은골 함석지붕(외쪽면) 징두리판벽, 두겁대, 걸레받이 철제 계단(양면칠) |
(높이×길이)×(0.5-1.0) (안목면적)×0.7 (표면적)×1.2 (지붕면적)×1.2 (지붕면적)×1.2 (지붕면적)×1.33 (바탕면적)×(1.5-2.5) (경사면적)×(3.0-5.0) |
|
철골 표면적 |
큰 부재가 많은 구조 보통 구조의 경우 작은 부재가 많은 구조 |
23-26.4m²/t 33-50m²/t 55-66m²/t |
9. 합성수지의 성질
물리적 성질 |
비중 |
1-1.5 정도 특히 열가소성수지가 가볍다. |
경도 |
열경화성 > 열가소성 |
|
열팽창계수 |
강재의 10배정도, 열전도율은 낮다. |
|
흡수율 |
1%이하로 낮다. |
|
투과율 |
좋다. 아크릴수지(91-93%) |
|
기계적 성질 |
수지 자체강도 |
압축(700-2,000), 휨(500-900), 인장(300-800kg/cm²) |
내충격성 |
열가소성수지가 크다. |
|
내열성 |
열에 약하다. |
|
화학적 성질 |
연소성 |
열가소성 50-100℃, 열경화성 100-150℃에서 사용 |
내후성 |
약하다.(대기중에서 황색, 갈색으로 변한다.) |
|
내약품성 |
산, 알칼리, 염류 등 유기용제에 강하다. |
10. 열가소성수지의 종류 및 특징
|
특징 |
주용도 |
아크릴수지 |
투광성이 크고 내후성이 양호, 착색이 자류롭다. |
채광판, 유리 대용품 (내충격도가 유리의 10배) |
염화비닐수지 |
① 강도, 내약품성, 전기절연성이 우수하다. ② 가소제에 의하여 유연한 고무형태가 가능하다. ③ 고온 및 저온에 약하다. |
타일, 시트, 조인트 재료, 파이 프, 접착제, 도료, 수지시멘트 |
초산비닐수지 |
무색투명, 접착성 양호, 내열성이 부족 |
도료, 접착제, 비닐론 원료 |
비닐아세탈수지 |
무색투명, 밀착성 양호 |
안전유리, 접착제, 도료 |
메타크릴수지 |
무색투명, 깅인하고 내약품이 크다. |
방풍유리, 조명기구, 장식재 |
스티롤수지(폴리스티렌) |
무색투명, 전기절연성, 내수성, 내약품성이 크다. |
창유리, 파이프, 발포보온판, 벽 타일, 채광용 |
폴리에틸렌수지 |
전기절연성, 내수성, 내약품성이 대단히 양호 |
건축용 성형품, 방수필림, 벽재 |
폴리아미드수지 |
강인하고 내마모성이 크다. |
건축용 장식용품, 나일론이다. |
셀롤로이드 |
투명, 가소성, 가공성 양호하나 내열성이 없다. |
유리 대용품 |
11. 열경화성수지의 종류 및 특성
|
특 징 |
주 용 도 |
페놀수지 |
① 강도, 전기절연성, 내산성, 내열성, 내수성 모두 양호하나 내알칼리성이 약하다. ② 용제(溶劑)에 강하다. |
벽, 덕프, 파이프, 접착제, 배전판, 전기통신 자제 (수요량의 60%를 차지) |
요소수지 |
① 페놀수지와 유사하나 무색으로 착색이 자유롭다. ② 내수성이 약간 약하다. |
마감재, 가구재, 도료, 접착제 |
멜라민수지 |
요소수지와 같으나 경도가 크고 내수성은 약하다. |
마감재, 가구재, 전기부품 |
알키드수지 |
접착성이 좋고 내후성이 양호, 성형이 가능, 전기적 성능이 우수 |
도료, 접착제 |
불포화 폴리 에틸렌수지 |
① 전기절연성, 내열성, 내약품성이 좋고 가압성형이 가능 ② 유리섬유를 보강재로 한 것은 대단히 강하다. |
커튼윌, 창틀, 덕트, 파이프, 도료, 접착제, 욕조, 큰 성형품 |
실리콘수지 |
내약품성, 내후성이 좋고 전기적 성능이 우수 |
방수피막, 발포보온관, 도료, 접착제 |
에폭시수지 |
① 금속의 접착성이 크고, 내약품성이 양호하며 내열성이 우수 ② 경화제 첨가에 따라 불용불융인 수지가 될 수 있다. |
금속도료 및 접착제, 보온보냉제, 내수피막(200℃이상 견딘다.) |
우레탄수지 |
열전연성이 크고 내약품성이 있으며 내열성이 우수 |
보온보냉제, 내수피막 도료, 접착제 |
규소수지 |
전기절연성, 내열성 및 발수성이 양호 |
전기부품, 기름 발수제 |
프란수지 |
내약품성, 접착성이 양호 |
금속도료, 금속접착제 |
12. 각종 접착제
단 백 질 계 |
카세인 |
수성도료의 원료, 목재․리놀륜의 접착 |
콩풀 |
값이 싸서 카세인, 요소수지의 증량재로 사용 |
|
알부민(아교) |
합성주시재료 이후 사용이 급격히 줄었다. 나무․종이의 접착 |
|
합 성 수 지 계 |
에폭시수지 |
① 내수성, 내습성, 전기절연성, 내약품서이 우수, 접착력 강함 ② 피막이 단단하고 유연성 부족 ③ 플라스틱, 도기, 유리, 목재, 천 콘크리트 등의 접착제에 사용, 특히 금속재료의 접착에 우수 |
페놀수지 |
① 접착력, 내열성, 내수성이 우수하다. ② 합판, 목재제품에 사용, 유리․금속의 접착에는 부적당 |
|
초산비닐수지 |
① 작업성이 좋고, 다양한 종류의 접착에 알맞다. ② 목재가구 및 창호, 종이․천 도배, 논슬립 등의 접착에 사용 |
|
요소수지 |
① 값이 싸고 접착력이 우수, 집성목재, 파티클보드에 많이 쓰인다. ② 목재접합, 합판제조 등에 사용 |
|
멜라민수지 |
① 내수성, 내열성이 좋고 목재와의 접착성이 우수하다. ② 목재․합판의 접착제로 사용, 유리․금속․고무접착에는 부적당 |
|
실리콘수지 |
① 특히 내수성이 웃, 내열성, 전기절연성이 우수하다. ② 유리섬유판, 텍스, 피혁류 등 모든 접착 가능, 방수제 |
|
프란수지 |
① 내산어, 내알칼리성, 접착력이 좋다. ② 화학공장의 벽돌․타일의 접착제 |
건축기사 필기요점정리 건축법규 (0) | 2021.02.20 |
---|---|
건축기사 필기요점정리 건축설비 (1) | 2021.02.20 |
건축기사 필기요점정리 건축구조 (1) | 2021.02.20 |
건축기사 필기요점정리 건축시공 14강. 재료 및 기타 (0) | 2021.02.18 |
건축기사 필기요점정리 건축시공 12강. 창호,유리,금속공사 (0) | 2021.02.16 |
건축기사 필기요점정리 건축시공 11강. 미장 및 타일공사 (0) | 2021.02.15 |
건축기사 필기요점정리 건축시공 10강. 지붕 및 홈통공사 (0) | 2021.02.14 |
건축기사 필기요점정리 건축시공 9강. 방수공사 (0) | 2021.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