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두께 120㎜를 설계하고자 한다. 최대 정모멘트가 발생하는 위험단면에서
주철근의 중심 간격은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240mm
2. D13 철근의 180°표준갈고리에서 구부림의 최소 내면 반지름은 약 얼마인가? 39mm
3. 소요철근량과 배근철근량이 같은 구간에서 인장력을 받는 이형 철근의
정착길이가 600㎜라고 할 때 겹침이음의 길이는? 780㎜
4. 토목재료로서 콘크리트의 일반적인 특징?
.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이 생기기 쉽다.
. 내구성과 내화성이 강재에 비해 높다.
. 균열이 생기기 쉽고 부분적으로 파손되기 쉽다.
5. 콘크리트용 재료로서 골재가 갖춰야 할 성질?
. 알맞은 입도를 가질 것
. 깨끗하고 강하며 내구적일 것
. 먼지, 흙 등의 유해물이 허용한도 이내일 것
6. AE공기의 특징?
.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저하시킨다.
. 기포의 직경이 클수록 잘 소실되지 않는다.
. 콘크리트의 온도가 낮을수록 AE공기가 잘 소실된다.
7.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 동결과 융해
- 물 흐름에 의한 침식
- 철근의 녹에 의한 균열
8. 재료의 강도란 물체에 하중이 작용할 때 그 하중에 저항하는 능력을 말하는데, 이때 강도 중
하중 속도 및 작용에 따라 분류되는 강도?
- 정적 강도, 충격 강도, 피로 강도
9. 동일 평면에서 평행한 철근 사이의 수평 순간격은 최소 25㎜ 이상
10. 콘크리트를 친 후 시멘트와 골재알이 가라앉으면서 물이 떠오르는 현상은?
: 블리딩
11. 콘크리트 표면과 그에 가장 가까이 배치된 철근 사이의 최단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 피복두께
12.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 골재 씻기 시험에 의하여 손실되는 양은 10% 이하로 한다.
- 경량골재는 일반적으로 입경이 작을수록 밀도가 커진다.
- 경량골재의 굵은 골재 최대치수는 원칙적으로 20㎜로 한다.
13. 이형철근을 인장철근으로 사용하는 A급 이음일 경우 겹침이음
의 최소 길이는? 300㎜ (단, 인장철근의 정착길이는 280㎜이다.)
14. 프리스트레스하는 부재의 현장치기 콘크리트에서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두께는? 80㎜
15. 폴리머 콘크리트(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의 성질?
: 내마모성이 좋다.
16. 기둥에서 띠철근에 대한 설명?
- 횡방향의 보강 철근이다.
- 종방향 철근의 위치를 확보한다.
-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한다.
1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포스트 텐션 공법?
-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에 PS강재를 긴장한다.
- 그라우트를 주입시켜 PS강재를 콘크리트와 부착시킨다.
- 장착 방법에는 쐐기식과 지압식이 있다.
18. 일반적인 강 구조의 특징?
- 균질성이 우수하다.
- 부재를 개수하거나 보강하기 쉽다.
-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가 발생하기 쉽다.
19. 교량의 상부 구조?
: 슬래브, 트러스, 보
20. 보를 강도 설계법에 의해 설계할 때, 균형변형률
상태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 압축측 최외단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0.003이고, 인장철근이
설계기준항복강도에 대응하는 변형률에 도달할 때
22. 슬래브에 대한 설명?
- 슬래브는 두께에 비하여 폭이 넓은 판모양의 구조물이다.
- 주철근의 구조에 따라 크게 1방향 슬래브, 2방향 슬래브로 구별할 수 있다.
- 2방향 슬래브는 주철근의 배치가 서로 직각으로 만나도록 되어 있다.
23.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보의 유효폭 b=300㎜,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럭의 깊이 a=150㎜, fck=28MPa일 때 콘크리트의 전 압축력은? (단, 강도 설계법이다.)
① 1080kN❷ 1071kN
③ 1134kN④ 1197kN
24. 옹벽의 전도에 대한 안전율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① 1❷ 2
③ 3④ 4
25. 1방향 슬래브의 최소 두께는 얼마인가?
❶ 100㎜② 200㎜
③ 300㎜④ 400㎜
26. 확대 기초의 크기가 3m×2m이고, 허용 지지력이 500kN/m2일 때 이 기초가 받을 수 있는 최대 하중은?
① 1000kN② 1800kN
③ 2100kN❹ 3000kN
27. 사용 재료에 따른 토목 구조물의 분류 방법이 아닌 것은?
① 강 구조❷ 연속 구조
③ 콘크리트 구조④ 합성 구조
28. 토목 구조물의 특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건설 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② 공공의 목적으로 건설되기 때문에 사회의 감시와 비판을 받게 된다.
③ 구조물의 공용 기간이 길어 장래를 예측하여 설계하고 건설해야 한다.
❹ 주로 다량 생산 체계로 건설된다.
29. 아치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① 미관이 아름답다.
② 계곡이나 지간이 긴 곳에도 적당하다.
③ 상부 구조의 주체가 아치(arch)로 된 교량을 말한다.
❹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아치교는 거가대교이다.
30. 철근 콘크리트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내구성이 우수하다.
❷ 검사, 개조 및 파괴 등이 용이하다.
③ 다양한 모양과 치수를 만들 수 있다.
④ 부재를 일체로 만들어 강도를 높일 수 있다.
31. 구조 재료로서의 강재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균질성을 가지고 있다.
② 관리가 잘된 강재는 내구성이 우수하다.
③ 다양한 형상과 치수를 가진 구조로 만들 수 있다.
❹ 다른 재료에 비해 단위 면적에 대한 강도가 작다.
32.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크게 세 가지 형식으로 분류할 때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합성 기둥❷ 원형 기둥
③ 띠철근 기둥④ 나선 철근 기둥
33. 그림과 같은 기둥에서 유효좌굴길이가 가장 긴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❶ (a)-(b)-(c)-(d)② (a)-(c)-(b)-(d)
③ (d)-(c)-(b)-(a)④ (d)-(c)-(a)-(b)
34. 철근의 항복으로 시작되는 보의 파괴 형태로 철근이 먼저 항복한 후에 콘크리트가 큰 변형을 일으켜 사전에 붕괴의 조짐을 보이면서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파괴는?
① 취성 파괴❷ 연성 파괴
③ 경성 파괴④ 강성 파괴
35. 철근 콘크리트가 건설 재료로서 널리 사용되게 된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철근과 콘크리트는 부착이 매우 잘 된다.
② 콘크리트 속에 묻힌 철근은 녹이 슬지 않는다.
❸ 철근은 압축력에 강하고 콘크리트는 인장력에 강하다.
④ 철근과 콘크리트는 온도에 대한 열팽창계수가 거의 같다.
36. 옹벽은 외력에 대하여 안정성을 검토하는데, 그 대상이 아닌 것은?
① 전도에 대한 안정② 활동에 대한 안정
③ 침하에 대한 안정❹ 간격에 대한 안정
37. 주탑을 기준으로 경사방향의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형식은?
❶ 사장교② 아치교
③ 트리스트교④ 라멘교
38. 보통 무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며 자중에 의하여 안정을 유지하는 옹벽의 형태는?
❶ 중력식 옹벽② L형 옹벽
③ 캔틸레버 옹벽④ 뒷부벽식 옹벽
39.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fck=24MPa, fy=300MPa일 때 균형철근비는 약 얼마인가?
① 0.020② 0.035
❸ 0.039④ 0.041
40. 슬래브의 형태가 아닌 것은?
① 사각형❷ 말뚝형
③ 사다리꼴④ 다각형
41. 단면 형상에 따른 절단면 표시에 관한 내용으로 파이프를 나타내는 그림은?
❶
②
③
④
42. 단면도의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단면도는 실선으로 주어진 치수대로 정확히 작도한다.
❷ 단면도는 보통 철근 기호는 생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③ 단면도는 배근된 철근 수량이 정확해야 한다.
④ 단면도에 표시된 철근 간격이 벗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43. 도로 설계 제도에서 평면의 곡선부에 기입하는 것은?
❶ 교각② 토량
③ 지반고④ 계획고
44. 도면의 치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치수 단위는 ㎝를 원칙으로 하며, 단위 기호는 표기하지 않는다.
② 치수선이 세로일 때 치수를 치수선 오른쪽에 표시한다.
❸ 좁은 공간에서는 인출선을 사용하여 치수를 표시할 수 있다.
④ 치수는 선이 교차하는 곳에 표기한다.
45. 도면에서 두 종류 이상의 선이 같은 장소에 겹칠 때 우선순위로 옳은 것은?
❶ 외형선→숨은선→절단선→중심선
② 외형선→숨은선→중심선→절단선
③ 절단선→숨은선→중심선→외형선
④ 절단선→외형선→중심선→숨은선
46. 토목설계 도면의 A3 용지 크기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841×594㎜② 594×420㎜
❸ 420×297㎜④ 297×210㎜
47. 토목제도에서 대칭인 물체나 원형인 물체의 중심선으로 사용되는 선은?
① 파선❷ 1점 쇄선
③ 2점 쇄선④ 나선형 실선
48. 1:1보다 큰 척도를 의미하는 것은?
① 실척② 축척
③ 현척❹ 배척
49. 물체를 투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투상하여 입체적으로 나타낸 것은?
① 투시 투상도❷ 사투상도
③ 등각 투상도④ 축측 투상도
50. 건설재료에서 아래의 그림이 나타내는 것은?
① 유리② 석재
❸ 목재④ 점토
51. 선의 종류 중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선은?
① 일점쇄선② 이점쇄선
❸ 파선④ 실선
52. 구조용 재료의 단면표시 그림 중에서 인조석을 표시한 것은? (실제 시험당일에서는 1번으로 정답이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❶
②
③
④
53. 그림과 같은 양면 접시머리 공장 리벳의 표시로 옳은 것은?
①
②
③
❹
54. 구체적인 설계를 하기 전에 계획자의 의도를 명시하기 위하여 그려지는 도면은?
① 설계도❷ 계획도
③ 제작도④ 시공도
55. 치수 보조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응하는 물리적 길이에 수직으로 그리는 것이 좋다.
❷ 치수선과 직각이 되게 하여 치수선의 위치보다 약간 짧게 긋는다.
③ 한 중심선에서 다른 중심선까지의 거리를 나타낼 때 중심선을 치수 보조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④ 치수를 도형 안에 기입할 때 외형선을 치수 보조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56. 철근의 갈고리를 표시하는 각도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90°② 45°
③ 30°❹ 10°
57.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면을 출력할 때 유의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주어진 축척에 맞게 출력 한다.
② 출력할 용지 사이즈를 확인 한다.
③ 도면 출력 방향이 가로인지 세로인지를 선택한다.
❹ 주어진 플롯을 사용하여 출력의 오류를 막는다.
58. 정투상법에서 제1각법의 순서로 옳은 것은?
❶ 눈→물체→투상면② 눈→투상면→물체
③ 물체→눈→투상면④ 물체→투상면→눈
59. 정면, 평면, 측면을 하나의 투상도에서 동시에 볼 수 있도록 3개의 모서리가 각각 120°를 이루게 그리는 도법은?
① 경사 투상도② 유각 투상도
❸ 등각 투상도④ 평행 투상도
60. 단면의 경계 표시 중 지반면(흙)을 나타내는 것은?
❶
②
③
④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 1연 정사각형 암거 저판 작도방법 (0) | 2020.10.28 |
---|---|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 1연 정사각형 암거 정판 작도방법 (0) | 2020.10.28 |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 1연 정사각형 암거 단면도 점철근 삽입하기 (0) | 2020.10.27 |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 1연 정사각형 암거 단면도 S2과 S3 작도법 (0) | 2020.10.26 |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 1연 정사각형 암거 단면도 S7과 S8 작도법 (0) | 2020.10.26 |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 1연 정사각형 암거 일반도 작도법 (0) | 2020.10.26 |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 1연 정사각형 암거 구조도와 철근상세도 (1) | 2020.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