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장작업 순서
원척도 작성 → 본뜨기 → 변형 바로잡기 → 금매김 → 절단 → 구멍뚫기 → 가조
립 → 리벳치기 → 검사 → 녹막이칠 → 운반
2. 피치(Pitch), 연단거리(Edge distance), 그립(Grip)의 정리
최소피치 |
표준피치 |
최대피치 |
연단거리 |
그립 |
||
2.5d |
4.0d |
인장재 |
압축재 |
최소 |
최대 |
|
12d, 30t이하 |
8d, 15t이하 |
2.5d이상 |
12t, 15cm이하 |
5d이하 |
[d : 리벳지름, t : 얇은 판의 두께]
3. 리벳, 볼트의 구멍크기
리벳(볼트)지름 |
구멍크기 |
|
리벳 |
16mm이하 |
+1.0mm |
19-32mm미만 |
+1.5mm |
|
32mm이상 |
+2.0mm |
|
볼트 |
보통볼트 |
+0.5mm이하 |
고력볼트 |
리벳구멍에 따름 |
|
앵커볼트 |
+5mm이하 |
4. 부재의 절단
① 전단절단 : 판두께 13mm이하, 그라인더로 수정
② 톱 절단 : 판두께 13mm초과 형강이나 정밀 절단시
③ 가스 절단 : 주변 3mm정도 변질, 여유있게 절단
5. 구멍뚫기
펀칭 (Punching) |
① 부재두께 12mm이하 또는 리벳지름이 9mm이하일 때 ② 속도는 빠르나, 구멍주위에 변형이 생긴다. |
송곳뚫기 (Drilling) |
① 부재두께가 13mm이상일 때 ② 3장이상 겹칠 때. 주철재일 때, 정밀가공일 때, 수밀성을 요하는 수조.유조 |
구멍가심 (Reaming) |
① 조립시 구멍위치를 틀릴 때 Reamer로 구멍가심을 한다. ② 3장이상 부재 겹칠 때 : 송곳으로 구멍지름보다 1.5mm정도 작게 뚫고 드릴 또는 리머로 조정한다. |
6. 리벳수와 가조립 볼트수
① 현장치기 리벳수 : 전 리벳수의 1/3
② 전 리벳수의 1/3 이상
③ 전 리벳수의 20-30% 또는 현장치기 리벳수의 1/5 이상
7. 고력볼트(High-tension bolt)접합
① 조임기기 : 임팩트 렌치, 토크렌치
② 조임방법 : 1차조임 : 80%, 2차조임 : 100%
③ 조임순서 :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조인다.
④ Bolt수의 10%이상, 각 볼트군에 1개이상
⑤ 마찰면 처리 : 마찰계수 0.45이상의 거친면으로 한다.
8. 녹막이칠하지 않는 부분
① 현장용접 부분 및 인접하는 양측 100mm 이내
② 고력볼트 마찰접합부의 마찰면
③ 콘크리트에 밀착 또는 매입되는 부분
④ 기계깎기 마무리한 부분
⑤ 조립에 의해 서로 밀착되는 면
⑥ 폐쇄형 단면을 한 부재의 밀폐된 내면
9. 용접의 결함
① 슬래그(Slag)섞임 : 용착금속 내에 슬래그가 혼입되는 것
② 언더 컷(Under cut) : 용착금속이 채워지지 않고 홈으로 남게 된 부분
③ 오버 랩(Over lap) : 용접금속과 모재가 융합되지 않고 겹쳐지는 것
④ 공기구멍(Biow hoie) : 금속이 녹아들 때 생기는 기포나 작은 틈
⑤ 균열(Creck) : 용접 후 냉각시에 생기는 갈라짐
⑥ 피트(Pit) : 용접부에 생기는 미세한 홈
⑦ 용입부족 : 모재가 녹지 않고 용착금속이 채워지지 않고 홈으로 남는 것.
⑧ 크레이터(Crater) : 용접시 끝 부분에 우묵하게 파진 부분
⑨ 피시아이(Fish eye) : 용접부에 생기는 은색 반점
10. 용접의 용어설명
① 스팻터(Spatter) : 철골용접 중 튀어나오는 슬래그 및 금속입자
② 비드(Bead) : 용착금속이 열상을 이루어 용접된 용접층
③ 밀 스케일(Mill scale) : 쇠비늘, 강재가 냉각될 때 표면에 생기는 산화철의 표피(녹)
④ 슬래그(Slag) : 용접할 때 용착금속 위에 떠 있는 찌꺼기
⑤ 글루브(Groove) : 앞벌림, 접합 부재간의 사이를 트이게 한 것
⑥ 플럭스(Fiux) : 자동용접의 경우 용접봉의 피복제 역할로 쓰이는 분말상의 재료
⑦ 엔드 탭(End tab) : 용접의 시작과 끝 부분에 임시로 붙이는 보조판
⑧ 아크 스트라이크(Arc strike) : 용접을 시작할 때 용접봉을 순간적으로 모재에 접촉시켜 아크를 발생시키는 것.
⑨ 가스 가우징(Gas gousing) : 홈을 파기 위한 목적으로 한 화구로서 산소아세틸렌불꽃을 이용하여 녹여 깎은
재의 뒷부분을 깨끗이 깎는 것.
⑩ 루트(Root) : 용접 이음부의 홈 아래 부분
⑪ 위빙(Weaving) : ㉠ 용접봉을 용접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왔다갔다 움직여 용착 금속을 녹여 붙이는 것
㉡ 위빙 폭 : 용접봉 지름의 3배 이하
11. 용접부의 비파괴 검사법
|
재의 두께제한 |
특 징 |
방사선투과 |
두께 100mm 이상도 가능 |
검사장소가 제한된다. 기록으로 남길 수 있다. |
초음파 탐상 |
두께 5mm 이상은 불가능 |
속도가 빠르다. 기록성이 없다. |
자기분말 탐상 |
두께 15mm 까지 가능 |
미세부분도 검사 가능하다. |
침투 탐상 |
표면결함만 검사 가능 |
넓은 범위 검사 가능 |
12. 철골기둥의 세우기 순서
기둥 중심선의 먹매김 → 앵커볼트의 설치 → 기초상부의 고름질 → 기둥 세우기 → 주각 몰탈채움
13. 앵커볼트(Anchor bolt)의 매입공법
고정(固定)매입공법 |
① 앵커볼트 위치를 완전 고정후 콘크리트 타설 ② 종요공사, 시공정밀도 요구공사, 앵커볼트 지름이 클 때 사용 |
가동(可動)매입공법 |
① 깔대기 통을 끼워 콘크리트카설, 다소 위치수정 가능 ② 경미한 공사, 앵커볼트 지름이 작을 때 사용 |
14. 세우기용 기계
가이데릭 (Guy derrick) |
①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중기의 일종, 보통 5-10톤 정도 ② 가이(Guy) 수 : 6-8개 ③ 붐(Boom)의 길이 < 마스트(mast)의 길이 ④ 붐의 회전범위 : 360° ⑤ 당김줄(Guy line) : 지면과 45°이하가 되게 한다. |
스티프 레그 데릭 (Stiff derrick) |
① 수평이동이 가능하므로 층수가 낮은 긴 평면에 유리하다. ② 당김줄을 이음대로 맬 수 없을 때 사용 ③ 붐의 회전범위 : 270°(작업범위는 180°) ④ 붐(boom)의 길이 > 마스트(Mast)의 길이 |
진 폴 (Gin pole) |
① 1개의 기둥을 세워 철골을 매달아 세우는 가장 간단한 설비 ② 소규모 철골공사에 사용, 중량재료를 달아 올리기에 편리 |
트럭 크레인 (Truck crane) |
① 트럭에 설치한 크레인 ② 기동력이 좋고 평면적인 넓은 장소에 적합하다. |
타워 크레인 (Tower crane) |
① 타워 위에 크레인을 설치한 것 ② 고양정 광범위한 작업에 적합하다. |
15. 강재 및 리벳의 시험
강재 |
인장 및 상온 휨시험 |
단면이 상이할 때, 중량 20t 마다 1개씩 시험 |
리벳 |
인장 및 상온 휨시험, 종 압축시험 |
지름이 다를 때, 중량 2t 마다 1개씩 시험 |
16. 철골 개산량 [연면적 1m²]
단층 철골조(공장, 창고) |
50-80kg |
|
철골철근콘크리트조 |
철골 |
90-150kg |
철골+철근 |
150-180kg |
건축기사 필기요점정리 건축시공 10강. 지붕 및 홈통공사 (0) | 2021.02.14 |
---|---|
건축기사 필기요점정리 건축시공 9강. 방수공사 (0) | 2021.02.13 |
건축기사 필기요점정리 건축시공 8강. 목공사 (0) | 2021.02.12 |
건축기사 필기요점정리 건축시공 7강. 조적공사 (0) | 2021.02.11 |
건축기사 필기요점정리 건축시공 5강. 철근콘크리트공사 (0) | 2021.02.09 |
건축기사 필기요점정리 건축시공 4강. 토공사 및 기초공사 (0) | 2021.02.08 |
건축기사 필기요점정리 건축시공 3강. 가설공사 (0) | 2021.02.07 |
건축기사 필기요점정리 건축시공 2강. 공정관리 (0) | 2021.02.06 |